[74] 이젠하임 제단화 기독교 미술에서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는 구세주가 인간으로 태어나 받은 고통을 가장 잘 표현하는 테마일 것이다. 그 중 어느 작품도 독일의 르네상스 화가 마티아스 그뤼네발트가 그린 '이젠하임 제단화'(사진·1510~1515년)만큼 충격적인 것은 없다. 어둡고 황량한 벌판을 배경으.. 서양 美術산책 2013.01.05
[73] '게릴라 걸스' 미국의 미술사학자 H.W.잰슨이 1962년에 '미술의 역사'라는 개설서를 출간했을 때 학계에서는 대환영했다. 약 600여 쪽에 1000점의 작품 사진이 포함된 이 책은 동·서양의 미술사를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 다룬 방대한 저서였기 때문이다. 이 책은 곧 대부분의 미국대학에서 미술사 교재로 .. 서양 美術산책 2013.01.05
[72] 세잔과 졸라 다른 분야의 예술인들이 절친한 친구가 되어 서로의 작품에 영향을 주고 성장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1950년대 이후 작곡가 케이지, 화가 라우센버그, 그리고 무용가 커닝햄은 서로 의기투합하여 현대예술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 19세기 낭만주의 화가 들라크루아는 작곡가 쇼팽.. 서양 美術산책 2013.01.05
[71] 아폴로와 다프네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가장 뛰어난 조각가가 미켈란젤로였다면 17세기 바로크 시대에는 지안로렌조 베르니니라는 걸출한 조각가가 있었다. 지식이 확충되고 국가의 힘이 커지고 신대륙을 발견하는 등 격동의 시기였던 바로크시대에는 미술도 감정적이고 화려하고 격렬한 운동감을 강조.. 서양 美術산책 2013.01.05
[70] 봉헌자 롤랭의 초상 종교적 작품을 그리스도나 마리아 또는 성인에게 봉헌하는 사람을 봉헌자(donor)라고 한다. 작품에는 봉헌자의 초상이 함께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봉헌자는 처음에는 성인(聖人)이 나오는 종교적 장면과 분리되어 문밖에서 무릎을 꿇고 앉아 있거나, 훨씬 작은 크기로 그려졌다. 그러나.. 서양 美術산책 2013.01.05
[69] 누드 미술과 검열 ▲ 로버트 매플소프 영국의 미술사학자 케네스 클라크는 영어에서 '누드'와 '네이키드(벌거벗음)'의 의미에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누드'는 문화적인 용어이고 '네이키드'는 옷을 벗고 있을 때 남이 보면 창피하게 느끼는, 일상적인 용어라는 것이다. 그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고대로.. 서양 美術산책 2013.01.05
[68] 니케 상 ▲ '사모트라케의 니케' 유명한 스포츠용품 제작회사인 '나이키'는 고대 그리스의 승리의 여신 '니케(Nike)'의 영어식 발음이다. 커다란 날개를 가진 니케 여신은 대개 전쟁의 여신 아테나와 함께 있지만 단독으로 나타날 때도 많다. 고대 그리스에서 전해오는 여러 점의 니케 상 중 단연 압.. 서양 美術산책 2013.01.05
[67] 마티스의 '생의 기쁨' 동양의 화가들이 무릉도원을 꿈꾸었다면 서양의 화가들은 이상향을 상상하여 화폭에 담았다. 대체로 서양 그림의 이상향은 '아르카디아' 또는 '황금시대'라는 주제 아래 편안하고 목가적이며 시적인 풍경 속에 한가롭게 노니는 인간들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현대미술에서도 이런 주제에.. 서양 美術산책 2013.01.05
[66] 여성 파라오 하트셉수트 고대 이집트에는 모두 4명의 여성 파라오가 있었다. 클레오파트라가 그 중 가장 유명하지만 사실 가장 강력한 권력을 구사했던 여성 파라오는 기원전 15세기경, 신왕국(新王國)의 하트셉수트였다. 투트모세 2세의 왕비였던 그는 왕이 죽자 후궁에게서 난 왕자(후일 투트모세 3세)가 어리다.. 서양 美術산책 2013.01.05
[65] 한 아방가르드의 죽음 ▲ 이브 클라인의 행위미술 장면. 관습이나 금기를 깨뜨리고 자신의 행동이나 표현이 그 시대에는 이해되지 않더라도 새롭고 실험적인 영역을 개척하는 예술가들이 있다. 이들을 아방가르드, 즉 전위예술가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은 대강 19세기 말부터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아.. 서양 美術산책 2013.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