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이 선물한 박대통령 초상화… 청와대 페이스북에 올려 입력 : 2015.10.31 03:00 청와대는 30일 페이스북에 '반도춘풍(半島春風)'이란 제목의 박근혜 대통령 초상화를 올렸다. 이 초상화는 중국 다롄시 종합고등학교 원샤오 부총장(36)이 부인과 함께 제작해 박 대통령에게 선물한 것이다. 원샤오 부총장은 안중근 의사를 통해 한국과 박 대통령에 대.. 藝文史 展示室 2015.10.31
42m 조선통신사 행렬圖… 호기심 가득한 일본인 표정 살아있네 입력 : 2015.10.29 03:00 [新조선통신사] 오사카역사박물관, 新조선통신사 도착 기념해 '행렬圖' 공개 日 각지 화가 40여명 투입, 통신사 일행 등 수천명 그려 여러 개 두루마리로 나눠 在日역사학자 故신기수씨가 기증한 140점 유물 중 하나 두루마리를 펴자 300년 전 조선통신사의 모습이 사진.. 藝文史 展示室 2015.10.29
'딸 박근혜와 통화' 위성 전화가 신기한 육영수 여사 입력 : 2015.10.21 03:00 박근혜 대통령이 美서 선물받은 '박정희 내외 訪美' 사진 박정희 전 대통령 내외가 1965년 린든 존슨 당시 미 대통령과 정상회담하려고 방미했을 때 사진이 공개됐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주 워싱턴을 방문했을 때 존슨 전 대통령의 의전장이었던 로이드 넬슨 핸.. 藝文史 展示室 2015.10.21
"국보 훈민정음 또 있다" 제3의 해례본 발견 력 : 2015.10.16 08:48 | 수정 : 2015.10.16 11:16 ‘조선 왕실본’이라는 훈민정음 해례본(세종 28년·1446)이 나타났다. 서울 간송미술관에 있는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70호)도, 어쨌든 1000억·1조원을 호가하는 경북 상주의 훈민정음 해례본도 아니다. 고서화 수집가 편영우(75)씨가 1986년 7월 일본 오.. 藝文史 展示室 2015.10.16
뉴욕 사찰에서 열린 우리 춤 이매방 49재 입력 : 2015.10.02 03:00 제자 在美 박수연, 살풀이춤 바쳐 /뉴시스 지난 8월 89세로 타계한 한국 전통춤의 거봉(巨峯) 이매방(李梅芳) 선생의 49재(齋)가 지난 24일 미국 뉴욕 원각사 (주지 지광스님)에서 열렸다. 한국 춤 인간문화재의 49재가 이역만리에서 열린 것은 이날 살풀이춤을 춰 재단에 .. 藝文史 展示室 2015.10.02
"100년 전 경남 양산 천성산을 노래한 시집 발견" 입력 : 2015.09.21 10:44 경남 양산시립박물관은 21일 양산의 명산인 천성산만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시집 '소금강 내원사 시선(小金剛 內院寺 詩選)'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천성산은 원적산, 원효산 등 다양한 이름이 있지만 '세종실록지리지'에서 '소금강산'이라는 별칭을 둘 만큼 수려한 산세.. 藝文史 展示室 2015.09.28
추석특집 '예전엔 그랬지' 입력 : 2015.09.24 07:14 추석은 음력 팔월 보름을 말한다. 한해 농사를 마무리하며 수확을 감사하는 명절로, 신라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대표적인 명절로 여겨진다. 매년 가족·친척이 모여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낸 것 같지만, 돌이켜보면 매년 다른 모습으로 추석은 지나갔다. 우리.. 藝文史 展示室 2015.09.24
오늘날 판사들 물건 1호로 - 바느질 필수품 '골무' 입력 : 2015.08.27 14:30 | 수정 : 2015.09.09 14:20 1945년부터 2015년 현재까지 광복 70년 동안 대한민국이 걸어온 시간들은 그 어떠한 것으로 정리를 하더라도 다 풀어낼 수 없을 만큼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그중에서도 한국인들과 함께 해온 물건들의 탄생과 소멸을 담은 이야기 '물건의 추.. 藝文史 展示室 2015.09.21
‘울릉도 야생화 사진전’ 9월3일부터 여는 문순화 사진작가 BY pichy91 ON 9. 1, 2015 “애초 전시회를 열려고 했던 게 아니었는데, 우연한 기회에 개최하게 됐어요. 이왕 울릉도 야생화사진전을 열게 됐으니 제일 좋은 작품들만 엄선해서 보여줄 겁니다. 성도 이름도 모르는 야생화를 오로지 기록을 남겨야겠다는 일념으로 렌즈에 담은 것이 오늘을 있게.. 藝文史 展示室 2015.09.01
태안 앞바다서 사상 첫 조선시대 조운선 발견 조선 초기 15세기 태안 앞바다에 침몰한 조운선 '마도4호선'에서 발굴된 분청사기들이 26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된 가운데 무늬가 또렷한 분청사기들이 보인다. 15세기초 해저유물들을 발굴했다. w조닷 藝文史 展示室 2015.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