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詩 漢詩

시집살이 노래 - 고추 당추 맵다 해도...

yellowday 2015. 11. 29. 11:28

 

형님 온다 형님 온다  분(粉)고개로 형님 온다. (보고저즌 형님 온다)
형님 마중 누가 갈까. 형님 동생 내가 가지.
                             

형님 형님 사촌 형님 시집살이 어떱뎁까?
이애 이애 그 말 마라 시집살이 개집살이.
앞밭에는 당추(唐추)심고 뒷밭에는 고추 심어,
고추 당추 맵다 해도 시집살이 더 맵더라.
둥글둥글 수박 식기(食器) 밥 담기도 어렵더라.
도리도리 도리 소반(小盤) 수저 놓기 더 어렵더라.


오 리(五里) 물을 길어다가 십 리(十里) 방아 찧어다가,
아홉 솥에 불을 때고 열 두 방에 자리 걷고,
외나무다리 어렵대야 시아버니같이 어려우랴?
나뭇잎이 푸르대야 시어머니보다 더 푸르랴?
시아버니 호랑새요 시어머니 꾸중새요,
동세 하나 할림새요 시누 하나 뾰족새요.
시아지비 뾰중새요 남편 하나 미련새요,
자식 하난 우는 새요 나 하나만 썩는 샐세.


귀 먹어서 삼년이요 눈 어두워 삼년이요,
말 못해서 삼년이요 석 삼년을 살고 나니,
배꽃 같던 요내 얼굴 호박꽃이 다 되었네.
삼단 같던 요내 머리 비사리춤이 다 되었네.
백옥 같던 요내 손길 오리발이 다 되었네.
열새 무명 반물 치마 눈물 씻기 다 젖었네.
두 폭 붙이 행주치마 콧물 받기 다 젖었네.
                        

울었던가 말았던가 베개 머리 소(沼) 이겼네.
그것도 소이라고 거위 한 쌍 오리 한 쌍
쌍쌍이 때 들어오네. 

 

 

내용 연구

형님 온다 형님 온다  분(粉)고개(지명으로 추측)로 형님(시집 갔던 언니를 형님으로 칭함)온다[aaba구조]. 보고저즌(보고 싶은) 형님 온다
형님 마중 누가 갈까. 형님 동생 내
(대화 상대자)가 가지. - (형님 마중)

형님 형님 사촌 형님 시집살이 어떱뎁까? (어떠합니까, 사촌 동생의 시집살이에 대한 호기심이 담겨 있음)
이애 이애 그 말 마라 시집살이 개집살이
(시집을 개가 사는 '개집'이라고 비유하여 시집살이에 대한 어려움을 간접적으로 나타낸 해학적 표현)[사촌 자매의 대화 형식]
앞밭에는 당추
(唐추 : 고추와 당추는 같은 말로 음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반복 표현, 또는 같은 음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달리 표현됨)심고 뒷밭에는 고추 심어[대구와 연쇄의 기법],
고추 당추 맵다 해도 시집살이 더 맵더라.
(당추와 고추는 같은 것이나 음의 조화로운 배치를 노린 표현이며, 시집살이의 매움을 강조하였다)
둥글둥글 수박 식기(
食器 : 수박 모양으로 둥글게 생긴 밥그릇.) 밥 담기도 어렵더라.
도리도리 도리 소반(
小盤 :밥상의 일종으로 둥근 작은 밥상, 음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언어 유희 / 자그마한 밥상이 어린아이가 도리질하듯 이리저리 흔들린다는 뜻)수저 놓기 더 어렵더라.[예의 범절을 갖추어 시집 식구의 밥상을 차리기가 어려움을 표현한 구절로 '둥글둥글'과 '도리도리'라는 음성상징어를 활용하여 운율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오 리(五里) 물을 길어다가
(오리나 떨어진 곳에서 물을 길어다가에서 당시 여성들의 고생스러움을 알 수 있음) 십 리(十里) 방아 찧어다가,[당시 여성들의 일하는 동선이 길었다는 말로 여성들의 가사의 어려움을 엿볼 수 있는 구절]
아홉 솥에 불을 때고 열 두 방에 자리 걷고,
(식구가 많은 3대가 함께 사는 대가족임을 알 수 있다) [시집살이의 일상사 앞에 수 관형사를 붙여 그만큼 일이 많고 어렵다는 사실을 과장하여 표현]
외나무다리 어렵대야 시아버니같이 어려우랴?
[시아버지 앞에서의 행동이 외나무다리를 건너기보다 더 조심스럽고 어렵다. 시아버지 앞에서 행동의 어려움을 말함 / 정신적 고통]
나뭇잎이 푸르대야 시어머니보다 더 푸르랴[
기세가 등등하고 무서우랴/ 우리말의 색채어 중에는 의미의 확장을 통해 그것이 지니고 있던 원래의 의미인 빛깔 그 자체와는 거리가 먼 다른 뜻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되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하룻밤을 하얗게 밝혔다'에서 '하얗게'는 '사뭇 뜬 눈으로 지내다'의 뜻을 지닌 말임]?[시부모로 인해 겪는 갈등을 나타낸 부분으로 시어머니의 서슬퍼런 눈총이 나뭇잎보다 더 푸르다는 표현으로 적절한 비교와 색채어의 사용을 통해 시부모님 모시기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표현]
시아버니 호랑새
(호랑이 같이 무서운 새. 대하기 어려운 사람. 사람을 새로 나타냄)요 시어머니 꾸중새요,
동세
( 동서 同壻 : 형제의 아내끼리 일컫는 말. ) 하나 할림새(남의 허물을 잘 고해 바치는 새라는 뜻. '할림'은 '할리다(참소하다)'에서 온 말.)요 시누 하나 뾰족새(성을 잘 내는 새, 앙칼지다)요.
시아지비 뾰중
(불만이 많은/ 무뚝뚝하여 상대하기 어려운 사람을 비유)새요 남편 하나 미련새(미련하고 어리석은 새라는 말로 남편의 모자람을 말함)요,
자식 하난 우는 새요 나 하나만 썩는 샐세.
(속이 썩는다는 말 / 마음 속으로 애를 태운다는 말)(시집 식구들을 새에 비유하여 화자의 처지를 익살스럽고 해학적으로 표현)[탁월한 우리말 구사 능력이 돋보이는 부분]


호랑새는 호랑이 같이 무서운 사람이라는 뜻으로 비유가 연상의 기초가 됨.

꾸중새, 할림새, 미련새, 우는 새, 썩는 새는 무섭게 꾸중을 하는 사람, 하리놀기(남을 헐뜯어 윗사람에게 일러바치기)를 잘하는 사람, 미련하기 이를 데 없는 사람, 울기를 잘하는 사람, 마음이 썩는 사람 등을 뜻하는 것으로, 어휘의 의미가 연상의 기초가 됨,

뾰족새, 뾰중새는 성을 잘 내고 잘 삐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삐죽거리는(마음이 언짢을 때 소리 없이 입을 내밀고 실룩거리는) 모습이 연상의 기초가 됨



귀 먹어서 삼년이요 눈 어두워 삼년이요,
말 못해서 삼년이요 석[
'냥', '되', '섬', '자' 따위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그 수량이 셋임을 나타내는 말로 석 냥/석 달/석 섬/석 자.] 삼년을 살고 나니,(삼년이 세 번으로 곧 9년을 말함, 못 들은 척, 못 본 척, 하고 싶은 말도 참고 살아야 하는 가부장제하의 시집살이 어려움을 뜻함)
배꽃 같던 요내 얼굴 호박꽃
(예쁘지 않은 여자를 비유한 말)이 다 되었네. (대조법)
삼단
(삼의 묶음으로 숱이 많고 긴 물건을 가리킴.) 같던 요내 머리 비사리춤(싸리의 껍질같이 거칠어진 모양)이 다 되었네[고된 시집살이로 볼품없이 됨].
백옥 같던
(섬섬옥수) 요내 손길 오리발(거칠고 투박해진 손)이 다 되었네. (대조적인 표현을 통해 시집살이의 고단함을 드러냄)[자신을 돌아볼 겨를도 없이 고생스럽고 어려운 시집살이를 하다 보니 어느 사이엔가 자신의 모습이 예전의 아름다움을 잃어 버리고 초라해져 있는 것을 한탄한 구절]
열새 무명
(아주 발이 고운 무명, 아주 곱게 짠 무명) 반물 치마(짙은 남빛 치마) 눈물 씻기 다 젖었네.
두 폭 붙이 행주치마 콧물 받기 다 젖었네. -  
(고된 시집살이의 묘사)

울었던가 말았던가[울었는지 말았는지 할 정도였는데] 베개 머리 소(沼)이겼네.(沼는 물이 깊게 괸 곳으로 눈물이 소를 이루듯 홍건히 괴었음을 말함, 눈물이 연못을 이루었네)
그것도 소이라고 거위 한 쌍 오리 한 쌍
(자식들을 빗댄 말로 보기도 함)
쌍쌍이 때 들어오네
.(때를 맞추어 들어온다. 떼를 지어 들어온다. 물에 떠서 들어온다, 어린 자식들이 어미 품을 파고 드는 모습을 과장법과 해학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괴로운 생활을 자식들을 보며 시집살이의 고통과 좌절을 극복하게 해줌. 다시 말해서 자식들로부터 받는 마음의 위안)-  (해학적인 체념)

 

 

 

딸아딸아 연지 딸아 남의 집에 가거들랑
일가친척 오시거든 말에 말씀 조심하고
지사영부 들거들랑 멧돌을 조심하고
꿩과 닭을 잡거들랑 잔머리를 조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