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詩 漢詩

(南溟) 曺植

yellowday 2012. 4. 4. 07:29

 

德山卜居 : 南溟 曺植

 

 

春山底處无芳草

只愛天王近帝居

白手歸來何物食

銀河十里喫有餘

 

(춘산저처무방초 지애천왕근제거

백수귀래하물식 은하십리끽유여)

 

 

 

 

덕산에 살 곳을 잡고서

 

 

봄 산 어느 곳엔들 芳草가 없으랴만

다만 천왕봉 하늘나라에 가까운 것 부러워 찾아왔네

늙어 빈 손으로 돌아와서 무엇을 먹고 살거나?

맑은 물 십리 흐르니 먹고도 남으리.

 

 

 

봄 산 어디엔들 꽃다운 풀 없으리요

다만 천왕봉이 상제(上帝)와 가까움을 사랑해서라네

빈 손으로 왔으니 무얼 먹고 살아갈거나

은하(銀河)가 십리(十里)이니 먹고도 남으리

 

 

 

산에 방초를 캐어 먹고 마을 앞 맑은 시냇물 먹으며 족하리라는 시심은 시가 도달할 수 있는

마음의 경지를 아름답게 표현해 주고 있다.

 

 

스승의 시조에도 나오는 '두류산 양단수'는 스승의 산천재 앞을 흐르는 강으로 동쪽 삼장 매원사 쪽을 덕천강 시천,

내대쪽의 강을 내대천이라 한다.

 

 

덕천서원 앞에서 합수하여 1km쯤 온 지역이 양당마을 산천재 앞이니 전에는 폭이 200m이상 되었으나

최근에는 직강공사를 하여 반이상 좁아져 지금의 모양이 되었다.

 

 

그 양단수를 은하에 비기고 그것을 퍼 먹으려는 상상을 한 스승의 큰 기개가 눈에 선하다.       은하십리님 블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