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죽령남 영가북 소백산전 제2장 숙수루 복전대 승림정자 제3장 채봉비 옥용반 벽산송록 제4장 초산효 소운영 산원가절 제5장 홍행분분 방초처처 준전영일 1장 죽령의 남쪽과 영가의 북쪽 그리고 소백산의 앞에, 2장 숙수사의 누각과 복전사의 누대 그리고 승림사의 정자, 3장 산새는 채봉이 날아 오르련듯·지세는 옥룡이 빙빙 돌아 서린듯, 푸른 소나무 우거진 산기슭을 안고, 향교 앞 지필봉(영귀봉)과 그 앞에는 연묵지로 문방사우를 고루 갖춘 향교에서는, 말로 어떻습니까? 4장 초산효와 소운영이라는 기녀들과 동산 후원에서 노닐던 좋은 시절에, 5장 붉은 살구꽃이 어지러이 날리고·향긋한 풀은 푸른데, 술동이 앞에서 긴 봄 날 하루놀이와, 5.작자와 창작연대 안축(安軸 : 1287-1348)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순흥 죽계(오늘날의 풍기(豊基))출생이다. 본관은 순흥(順興)이고, 자는 당지(當之)이며, 호는 근재(謹齎)이다. 아버지는 안석(安碩)이다. 신흥유학자 중 한 사람으로 탁월한 재질로 학문에 힘써서 글을 잘 지었다. 문과에 급제해서 전주사록(全州司祿), 사헌규정(司憲糾正), 단양부주부(丹陽附主簿)를 지냈고, 1324년(충숙왕11) 원나라 제과(制科)에도 급제해서 그 곳 요양로(療陽路) 개주판관(蓋州判官)에 임명되었지만 부임하지는 않았다. 고려로 돌아와서 성균학정(成均學正),우사간대부(右司諫大夫)를 거쳐 충혜왕 때 왕명으로 강원도존무사(江原道存無使)로 파견되었다. 이 때 『관동와주(關東瓦注)』라는 문집을 남겼다. 이 저작에는 충군애민(忠君愛民)의 뜻이 담겨 있다. 1332년(충숙왕 복위1)에 판전교지전법사(判典校知典法事)에서 파면당했다가 전법판서(典法判書)로 복직되었지만, 내시의 미움을 사서 다시 파직당했다. 충혜왕이 복직하자 다시 전법판서, 감찰대부(監察大夫)등에 등용되고, 이어 교검교평리(校檢校評理)로서 상주목사를 지내고, 1344년(충목왕 즉위년)에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와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가 되어 양전(量田)행정에 참여하였다. 그 뒤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가 되어 민지(閔漬)가 지은 『편년강목(編年綱目)』을 이제현(李齊賢) 등과 개찬하였고, 또 충렬·충선·충숙 3조朝의 실록을 편찬하는 일에도 참여하였다. 한편 경기체가인 「관동별곡」과 「죽계별곡」을 지어 문학적 명성을 날렸다. 흥년군(興寧君)에 봉해진 뒤 죽었다. 순흥의 소수서원(紹修書院)에 제향되었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저서로는 『근재집(謹齋集)』이 있다.
「죽계별곡」은 언제 지었는지 확실하지는 않으나, 작품의 배경이 되는 작자의 고향 순흥이 순흥부로 승격이 되고, 거기 충목왕의 태(胎)가 안장되는 일이 작가가 세상을 떠나던 해인 충목왕 4년(1348)에 있었던 것을 증거로 해서, 그 해가 창작연대라는 견해가 유력하다. 그 두 가지 사실이 작품 창작연대의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며, 왕의 태가 안장된 일은 작품에 언급되어 있다. 그렇다면 이 노래는 안축이 자기 인생을 마무리하면서 지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작성자 : 국어교육과 정언실·조애진 |
'옛글古詩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 陳風(진풍) (0) | 2018.06.13 |
---|---|
청평조사(淸平調詞) 2. / 이백 (0) | 2018.01.21 |
소나무의 송풍(松風) (0) | 2017.11.24 |
월하독작(月下獨酌 ) / 이백(李白) (0) | 2017.09.01 |
전전반측(輾轉反側) (0) | 2017.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