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4.04.30 03:03
이경록 한독의약박물관장, 조선 초기 醫書 번역본 펴내
-
/한독의약박물관 제공
이경록(46·사진) 한독의약박물관장이 최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지원을 받아 조선시대 의서(醫書)인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한글 번역본을 출간했다. 국가 보물로 지정된 향약제생집성방은 조선 정종 원년(1399년)에 간행됐다. 이 관장은 "고려시대 의서는 현재 남아 있는 것이 없다"며 "조선 초기에 편찬한 향약제생집성방이 사실상 고려시대 의학을 보여주는 유일한 기록"이라고 말했다.
향약제생집성방은 특히 당시 만연했던 중국 약재와 처방에서 벗어나 우리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초를 이용해 우리 풍토와 체질에 맞는 약과 처방을 수록하고 있다. 이 관장은 "질병은 인간의 삶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친다"며 "고려와 조선 초기 사람들이 어떤 병에 걸렸고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밝혀내면 당시 생활상을 좀 더 풍부하게 알 수 있다"고 했다.
이번에 번역한 향약제생집성방은 총 30권 중 현재 남아 있는 권 4~5(보물 1235호)와 권 5~6(보물 1178호) 3권 2책이다. 이 책은 각각 한독의약박물관과 가천박물관에 있다. 이 관장은 번역서 맨 뒤에 원문도 넣었다.
이 관장은 연세대 사학과를 나와 성균관대 사학과에서 고려시대 의료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한독의약박물관장을 맡고 있다. 충북 음성에 있는 이 박물관은 1964년 한독(구 한독약품) 창립 10주년을 기념해 설립된 국내 최초의 기업박물관이자 전문박물관이다. 국내 유일본인 조선시대 의서 '의방유취(醫方類聚·보물 1234호)', 고려 왕실의 약그릇 '청자상감상약국명합(靑磁象嵌尙藥局銘盒·보물 646호)' 등 동서양의 의약 관련 유물 1만5000점을 소장하고 있다. 의료사 연구의 보물창고인 셈이다. 이 관장은 오는 7월 박물관 설립 50주년을 기념해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조선왕실 의료의 조명' 특별전을 연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藝文史 展示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대 소녀 사랑한 노인 다룬 '은교' 작가 박범신, 이번엔… - "은교보다 더 불온해진 사랑… 세사람이 공유하게 했습니다" (0) | 2014.05.08 |
---|---|
일본의 항복은 원자폭탄 때문이 아니었다? (0) | 2014.05.03 |
김연아 은퇴기념 메달, 검은색 원피스-노란리본 '차분한 김연아' (0) | 2014.04.28 |
연륜이 빚어냈다, 짧은 詩의 깊은 맛 (0) | 2014.04.28 |
王家의 담담한 몰락, 그래서 더 비극적인 (0) | 201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