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3.10.30 03:56
화가 이중섭은 친구였던 시인 구상에게 입버릇처럼 자기 작품을 '가짜'라고 했다. 전람회에서 누군가 자기 그림에 빨간 딱지를 붙이는 걸 보면 "됐어, 또 한 사람 업어넹겼어(속였어)"라고 진한 평안도 사투리로 소곤거렸다. 그러곤 정색을 하고 작품 산 사람에게 다가가 정중하게 말했다. "이거, 아직 공부가 덜 된 겁니다. 앞으로 진짜 좋은 작품이 만들어지면 선생님이 산 것과 꼭 바꿔드리겠습니다."
▶이중섭이 마흔에 일찍 죽는 바람에 이 약속은 부도(不渡)가 됐다. 그러나 죽을 때까지 자기 작품에 만족 않고 스스로를 채찍질한 덕에 그의 그림은 미술사에서 우뚝하다. "오늘은 죽자 사자 일했어. 거의 완성돼 가는 그림을 부숴버렸어. 자잘한 것 버리고 커다란 주제만 남겼지. 한결 좋아졌어…." 뉴욕에서 홀로 작업하던 김환기가 서울의 아내에게 보낸 편지 한 대목이다. 돈이 없어 뉴욕타임스 신문지 위에 그림을 그리고 나무 사다 캔버스를 만들어 쓰던 시절이었다.
▶지금 덕수궁 현대미술관에서 보기 드문 '그림의 향연'이 벌어지고 있다. 한국 근현대 미술사를 수놓은 거장 57명의 작품 100점을 모은 '명화(名畵)를 만나다' 전시회다. 이중섭의 '황소'와 '가족', 김환기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산월'…. 책에서나 보던 귀한 작품들이 오랜만에 외출을 했다. 망국과 전쟁, 가난으로 이어진 시대의 어려움을 붓 한 자루에 의지해 넘었던 화가들의 예술혼이 전시장에 가득하다.
▶박수근 작품으론 '절구질하는 여인' '빨래터' 같은 대표작이 나왔다. 황토색 거친 화면 위에 민초들 삶을 군더더기 없이 담은 그의 그림들은 언제나 돌아가고 싶은 고향 같다. 천경자의 '내 슬픈 전설의 49페이지'는 마음속 한(恨)을 견디며 곡절 많은 삶을 살아온 화가의 자화상이자 모두의 자화상이다. 변관식은 누군가 "그림이 너무 검다"고 평하면 오기로 먹을 더 시커멓게 칠하고 "나 죽으면 (어떻게 평가받는지) 봐" 하고 맞섰던 화가다. 술병 꿰차고 금강산을 누비며 그린 넉 점이 그가 죽은 지 37년 만에 관객을 맞는다.
▶예술에 순위를 매길 순 없다. 그래도 사람마다 좋아하는 그림이 있다. 세계에서 포스터가 가장 많이 팔린 그림은 오스트리아 화가 클림트의 '키스'다. 세계적 미술관 300곳의 걸작 4만점을 올린 구글 아트 프로젝트에서 가장 사랑받는 그림은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이다. 나뭇잎에 가을이 물들어 가는 덕수궁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우리 화가의 그림을 만나고 싶다. 조닷
'朝日報 萬物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티브 잡스의 車庫 (0) | 2013.11.02 |
---|---|
위구르족 (0) | 2013.10.31 |
'청계천의 聖者' 노무라 목사 (0) | 2013.10.29 |
派獨 근로자 초청 사기극 (0) | 2013.10.26 |
카리브해 흑인 노예 (0) | 201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