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오지심
(羞惡之心) : 부끄러울 수, 미워할 오,
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다음은 맹자의 사단설(四端說) 가운데 나오는 말로, 《맹자》 〈공손추편(公孫丑篇)〉에 있는 말이다.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없는 것은 사람이 아니고, 부끄러운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옳고 그름을 아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불쌍히 여기는 마음'은 어짐의 극치이고,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은 옳음의 극치이고, 사양하는 마음은 예절의 극치이고,
옳고 그름을 아는 마음은 지혜의 극치이다.[無惻隱之心 非人也 無羞惡之心 非人也 無辭讓之心 非人也 無是非之心
非人也. 惻隱之心 仁之端也 羞惡之心 義之端也 辭讓之心 禮之端也 是非之心 智之端也].
이 말은 맹자가 독창적으로 주창한 인성론으로서 '사단설' 또는 '성선설(性善說)'이라고도 한다.
성선설이란 사람의 본성은 '선(善)'이라고 보는 학설이다. 맹자에 따르면 사람의 본성은 의지적인 확충작용에 의해
덕성으로 높일 수 있는 단서를 천부적으로 가지고 있다.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의 마음이 4단(四端)이며,
그것은 각각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근원을 이룬다.
맹자의 정치사상의 핵심은 왕도정치인데, 이 왕도정치가 가능한 것은 사람의 본성이 선하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사람의 본성은 착하다고 보고 그 마음을 확대하여 나가면 '인·의·예·지'라는 4가지 덕을 완성하게 되고,
다시 이 덕행으로 천하의 백성들을 교화시킴으로써 왕도정치가 실현된다고 보았다.
"사람은 다 사람에게 차마 못하는 마음이 있다. 왕이 먼저 백성에게 차마 못하는 마음이 있으면, 백성에게 차마 못하는 정치가 있다.
백성에게 차마 못하는 정치를 행하면 천하 다스리기를 손바닥 안에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사람에게 차마 못하는 마음이란, 사람에게 해를 가하는 것을 차마 하지 못하여, 사람의 불행을 앉아서 차마 보지 못하는 마음,
이 마음으로 천하를 다스린다면 마치 손바닥 위에서 물건을 굴림과 같이 아주 쉽게 공을 거둘 수 있다는 말이다.
맹자는 사람에게 차마 못하는 마음은 사람에게 본래 있는 것이라며 성선설을 입증하고 있다.
"사람들은 다 사람에게 차마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하는 까닭은 이러하다. 이제 사람들이 어린아이가 막 우물에 빠지는 것을 보면,
다 놀라고 불쌍한 마음을 가진다. 이는 그 어린아이의 부모와 사귀려 함도 아니며, 마을 사람들과 벗들에게 칭찬을 받기 위하여
그러는 까닭도 아니며, 그 원성을 듣기 싫어서 그렇게 하는 것도 아니다."
맹자는 사람들은 다 차마 못하는 마음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앞의 이야기로 설명하고 있다.
곧 어린아이가 위험에 처했을 때 사람들은 누구나 두려워 근심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들어 반드시 달려가 구하려고 하는데,
이는 사람에게 차마 못하는 근본 마음이 본능적으로 행동하게 할 뿐이라는 것이다. (두산백과)
'名言 四字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井蛙不知海 夏蟲不知氷 (정와부지해, 하충부지빙) (0) | 2015.11.13 |
---|---|
증자 (曾子)의 名言 (0) | 2015.10.02 |
相濡以沫(상유이말) 배려 - 중국의 (0) | 2015.07.22 |
회광반조(回光返照) , 명현현상 (瞑眩現象 ) (0) | 2015.05.27 |
少欲知足(소욕지족) (0) | 201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