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려도(傳臚圖)
옛 그림 속에는 게를 그린 것이 많다. 게 그림에 반드시 함께 등장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갈대다. 그 의미는 무엇일까?
어째서 게 그림에는 갈대가 같이 그려지는 걸까? 게가 갈대를 물고 있는 그림은 전려도(傳臚圖)라 한다. 려(臚)는
전한다는 뜻인데, 중국 음이 갈대 로(蘆)와 같다. 아래 명나라 때 화가 서위(徐渭)가 그린 그림에도 전로(傳盧)라는
두 글자가 또렷하게 적혀 있다. 전려는 예전 과거 시험에서 합격자를 발표하던 일종의 의식과 관련된 말이다.
전시(殿試)에서 합격자 등수를 발표하는 날, 황제가 전각에 이르러 선포하면 각문(閣門)에서 이어받아 계단 아래로
전달한다. 그러면 호위 군사가 일제히 그 이름을 받아 큰 소리로 외친다.
합격자의 이름이 한 사람 한 사람 발표될 때마다 각문 밖에선 무수한 탄식과 환호가 엇갈렸다.
생각만 해도 마음 설레는 장면이 아닐 수 없다.
게는 한자로 해(蟹)다. 각 지역에서 보는 향시(鄕試)에서 합격한 사람의 명단을 중앙 정부에 올려 서울의 과거에 응시하게
하는 것을 발해(發解)라 하였다. 해(解)와 해(蟹)의 음이 같고, 또 게는 등딱지가 갑옷처럼 되어 있어 과거에 갑제(甲第),
즉 1등으로 합격하라는 의미가 된다. 즉, 이 그림은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라는 뜻이다. 요즘 식으로 말하면 대학이나
고시 합격을 축원하는 그림인 셈이다.
명나라 서위(徐渭)의 <전려도(傳臚圖)>
아래 김홍도의 그림에는 갈대와 게 두 마리를 그렸다. 그림 위에는 '바다 용왕이 계신 곳에서도 옆으로 걷는다
[海龍王處也橫行].'라고 적었다. 횡행(橫行)이란 거리낌 없이 멋대로 다닌다는 뜻인데, 게가 바로 걷지 못하고 옆으로
기는 것을 이렇게 재미나게 말한 것이다. 이것은 임금 앞에서 제멋대로 군다는 것이 아니라, 마음껏 제 뜻을 펼친다는
의미이다. 게의 별명이 횡행개사(橫行介士)이다.
임금 앞에서도 거리낌 없이 바른 말을 하는 강직한 선비라는 뜻이다.
김홍도의 <게>
석촌 윤용구의 전려도
'藝文史 展示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춘란’ 경매가 1억원 탄생…aT화훼공판장 올 첫 경매 기록 (0) | 2015.01.16 |
---|---|
'손안의 미술관'을 거닌다… 어, 붓터치도 살아있네 (0) | 2015.01.13 |
영화 - 언브로큰(Unbroken.2014) (0) | 2015.01.11 |
'클릭' 한번에 집에서 펼쳐지는 박물관 (0) | 2015.01.11 |
[2015 신춘문예] [시 당선작/당선소감/심사평] 면(面) (0) | 201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