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日報 萬物相

누명 벗은 옹정제

yellowday 2013. 9. 7. 06:09

입력 : 2013.09.07 03:38

중국사의 전성기를 말할 때 '강·옹·건 시대'를 뺄 수 없다. 청나라 4대 강희제부터 아들 옹정제, 손자 건륭제에 이르는 134년이다. 지금 중국의 엄청난 땅덩어리는 이때 정해졌다. 6000만명이던 인구도 이 기간 2억명으로 늘었다. 강희제와 건륭제는 '역사상 가장 뛰어난 군주'라는 명예도 함께 누린다. 그러나 옹정제에겐 유독 '잔인한 독재자'의 이미지가 따라다녔다.

▶강희제는 아들이 서른다섯이나 됐다. 강희제가 일찌감치 큰아들을 황태자로 지명하자 신하들이 아들에게 줄 서는 일이 벌어졌다. 그는 황태자를 폐위했다. 황자(皇子)들 간에 후계 자리를 놓고 다툼이 뜨거웠다. 서로 헐뜯고 고자질했다. 1722년 강희제가 죽게 되자 아들들이 모였다. 대신(大臣) 롱고도가 방에 들어가 황제의 뜻을 받아왔다. 계승자는 넷째 아들, 훗날 옹정제였다.


	[만물상] 누명 벗은 옹정제
▶옹정제는 몸을 돌보지 않고 일했지만 후계 지명을 둘러싼 음모설에 시달렸다. 음모설은 이랬다. "강희제는 원래 열넷째 아들에게 제위를 준다는 뜻으로 롱고도의 손바닥에 '十四(십사)'라고 썼다. 옹정제에게 매수된 롱고도가 방을 나오면서 '十四'에서 '十'을 혀로 핥아 지우고 '四'만 남겼다." 강희제가 '열넷째 아들에게 넘겨준다(傳位十四子)'고 종이에 써둔 것을 옹정제가 훔쳐 위조했다는 소문도 있었다. '十四'의 十을 '~에게'를 뜻하는 어조사 于(우)로 바꿔 "넷째 아들에게 준다"가 되게 했다는 얘기다.

▶옹정제는 소문을 퍼뜨린 이복형제들을 '개' '돼지'라 부르고 감옥에 가둬 죽게 했다. 그는 죽을 때까지 황태자를 발표하지 않았다. 후계자 이름을 적은 종이를 황궁 안 '정대광명(正大光明)'이라 쓰인 액자 뒤에 두고 "내가 죽으면 열어보라"고 했다. 그러곤 "한번 후계자로 마음에 뒀더라도 잘못하면 언제든 바꿀 수 있다"고 했다. 그랬더니 황자들은 아버지 마음에 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황제가 되기 위한 수련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옹정제식 황위 세습 제도는 청나라가 끝날 때까지 계속됐다.

▶엊그제 만주족 고향 랴오닝성에서 옹정제의 '황위 찬탈' 누명을 벗겨줄 강희제의 유서가 발견됐다고 한다. 유서에는 "넷째 아들은 인품이 남다르고 생각이 깊어 대통(大統)을 이을 만하다"고 돼 있다. 유서는 만주어와 몽골어로도 쓰여 있어 한자 몇 글자 고치는 것으로는 내용을 바꾸기 어렵게 돼 있다고 한다. 300년 전 중국 황실 깊숙한 곳에서 벌어졌던 음모와 다툼이 새삼 권력이란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조닷

'朝日報 萬物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적죄(與敵罪)  (0) 2013.09.11
동성(同性) 결혼식  (0) 2013.09.09
워터 소믈리에  (0) 2013.09.06
출판기념회  (0) 2013.09.05
후쿠시마에선 지금  (0) 2013.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