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에게 보여주다
개울 건너 청삽사리 컹컹 짖어서
산골 집은 적막함이 겨우 깨졌네.
밤 들어 비바람 치는 소리에
처자식은 도란도란 얘기 나누네.
絶句示內(절구시내)
隔水靑犬吠(격수청견폐)
山家免寂寥(산가면적요)
夜來風雨響(야래풍우향)
妻子話蕭蕭(처자화소소)
―이복현(李復鉉·1767~1853)
지은 시인이다. 그가 서울 생활을 접고 과천 관악산 동쪽 만안교 앞쪽 산 아래로 집을 옮겼다. 산 아래 집의 풍경을 읊어 아내에게 보여주었다. 낮이면 집 앞에 있는
개울 건너편에서 청삽사리가 짖어 오랜 적막을 깨트리고, 비바람 칠 때에는 아내와 아이들이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밤이 깊어간다.
인구가 적었던 시절, 깊은 산중 외딴 집에서는 긴 적막을 깨트린 청삽사리의 짖는 소리가 반갑고, 비바람 속 도란거리는 가족들의 대화가 정겹다.
산골 풍경은 소리로 그릴 수 있다. 소음의 홍수 속에 사는 이들은 그 적막함의 맛을 모른다. 안대회 교수
'옛글古詩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詩가 수록되어 있는 - 두산백과 (0) | 2013.07.03 |
---|---|
관작루에 올라 (登 鸛雀樓 - 王之渙) / 박근혜 대통령께서 시진핑 주석으로 부터 받은 서예선물 내용입니다. (0) | 2013.06.29 |
귀거래사 (歸去來辭) - 도연명(陶淵明) (0) | 2013.05.21 |
혼자 깨어 있다 ― 이정주(李廷柱) (0) | 2013.05.21 |
歸園田居 귀원전거 - 陶淵明 (0) | 201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