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詩 漢詩

詩가 수록되어 있는 - 두산백과

yellowday 2013. 7. 3. 16:59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요약] 조선 세종 때 지은 악장(樂章)의 하나. [본문] 목판본. 10권 5책. 1445년(세종 27) 4월에 편찬되어 1447년(세종 29) 5월에 간행된, 조선왕조의 창업을 송영(頌詠)한 노래이다. 모...
  • 서동요 [薯童謠]
    [요약] 한국 최초의 4구체(四句體) 향가(鄕歌). [본문] 백제의 서동(薯童:백제 무왕의 어릴 때 이름)이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 지었다는 민요 형식의 노래이다. 이두(吏讀)로 표기된 원문과 함께 그 설...
  • 향가 [鄕歌]
    [요약] 삼국시대 말엽에 발생하여 통일신라시대 때 성행하다가 말기부터 쇠퇴하기 시작, 고려 초까지 존재하였던 한국 고유의 정형시가(定型詩歌). [본문] 순수한 우리 글로 표현되지 못하고 향찰(鄕札) 및 이두...
  • 김병연 1
    김병연 [金炳淵, 1807 ~ 1863]
    [요약] 조선 후기의 방랑시인. [본문] 조선 후기 시인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심(性深), 호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고도 부른다. 아버지는 김안근(金安根)이며 경기도 ...
  • 진달래꽃
    진달래꽃
    [요약] 김소월(金素月:1902∼1934)의 시. [본문] 1925년에 간행된 김소월의 시집 《진달래꽃》에 수록되어 있다. 이별의 슬픔을 인종(忍從)으로 극복하여, 전통적인 정한(情恨)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 하여가 [何如歌]
    [요약] 조선이 개국하기 전 이방원(李芳遠:太宗)이 지은 시조 1수. [본문] 고려의 충신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진심을 떠보고 그를 회유하기 위하여 읊은 시조로서, 포은이 이에 답한 것이 《단심가(...
  • 가는 길
    [요약] 길 떠나는 이의 회포를 반복적인 시구에 담은 시. [본문]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그냥 갈까 그래도 다시 더 한 번 저 산에도 까마귀, 들에 까마귀 서산에는 해 진다고 지저귑니다. 앞강물 뒷...
  • 별 헤는 밤
    [요약] 윤동주(尹東柱)의 시. [본문] 1941년 작품. 어린 시절의 애틋한 추억을 되새기며 조국의 광복을 염원하는 시인의 간절한 열망을 담은 시이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 가시리
    [요약] 작자·연대 미상의 고려가요. [본문] 전 4절, 매절 2행, 후렴구로 이루어져 있는 소곡(小曲)의 가형(歌形)으로 기승전결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고려가요라는 확증은 없으나, 가풍(歌風)이나 시정(...
  • 처용가 [處容歌]
    [요약] 고려시대 가요(歌謠)로 신라 때 처용이 지은 향가를 발전시킨 노래. [본문] 이 가사에는 처용의 모습과 역신에 대한 것이 자세히 곁들여 있고, 역신에 대한 분노가 고조되어 있는 비교적 장형(長形)의...
  • 이전페이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