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그림 옛사람

[50] 길에서 잠에 빠진 스님… 무슨 꿈을 꾸었을까

yellowday 2013. 5. 21. 09:49

 

입력 : 2013.05.17 23:18


	유숙, ‘오수삼매’ 그림
 
유숙, ‘오수삼매’… 19세기, 종이에 먹, 40.4×28㎝, 간송미술관 소장.
승려는 두 손을 무릎 위에 모았다. 고개를 떨구고 낮잠을 잔다. 오죽 고단했으면 길바닥에 앉아 까무룩 잠에

빠졌을까. 겉모습이 왠지 가엾고 구슬프다. 수그린 머리 뒤로 드러난 목덜미는 메말랐다. 몸에 걸친 장삼은

소매와 품이 나우 넓다. 잔뜩 옹송그린 등짝을 타고 흘러내린 옷자락이 낡았고, 해졌고, 꾀죄죄하다.

그림 제목이 '오수삼매(午睡三昧)'다. 그린 이는 유숙(劉淑·1827~1873)이다. 유숙은 철종과 고종의

어진을 제작했던 화원이다. 인물의 기미(氣味)를 살피는 그의 눈썰미는 이 작품에서도 살아있다.

하나씩 뜯어보면 기법이 재미롭다. 아무 배경 없이 인물로 화면을 채웠다. 존재감이 더 우뚝해졌다.

얼굴과 손발은 세심하게 그려 실상에 바싹 다가간다. 이른바 붓을 놀리는 '필법'이 또렷하다. 옷 주름은 어떤가.

기운이 거칠게 몰려 짙고 옅은 변화가 어지럽다. 이게 먹을 쓰는 '묵법'이다. 곧 붓의 묘사와 먹의 표현이

한자리에서 부닥친 셈이다. 효과는 드라마틱하다. 그림에서 사뭇 선미(禪味)가 감돌고 보는 이의 동조를

쉬 끌어낸다. 이윽고 궁금해진다. 저분, 이력이 어떤 승려일까.

어쩐지 옷이 거북 껍데기 같기도 하다. 속으로 감추려는 것은 수도하는 자의 욕념이고, 겉으로 보이려는 것은

업보를 짊어진 각오다. 아무려나 승려는 머나먼 길을 걸어왔을 테다. 까칠한 머리칼 사이로 보인다.

드문드문한 흠집은 풍상의 흔적이다. 앞이 터진 짚신에서 발가락이 튀어나왔다. 원행의 괴로움을 넌지시

알려준다. 신분이 어렴풋이 떠오른다. 집집을 다니며 경문(經文)을 외우고 동냥하는 탁발승이 아닐까.

저 구저분한 먹빛 옷이 박음질 없이 하늘하늘한 천의(天衣)보다 미덥다. 길에서 태어나, 길에서 깨닫고,

길에서 가르치다, 길에서 돌아간 부처가 생각나서다. 스님! 그만 깨어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