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경래의 난(洪景來의 亂)은 1811년(순조 11년) 음력 12월 18일부터 1812년(순조 12년) 음력 4월 19일까지
홍경래·우군칙(禹君則) 등을 중심으로 평안도에서 일어난 넓은 의미에서의 농민 반란이다.
배경
조선 후기에 사회·경제적인 역량이 성장함에 따라 여러 사회모순에 대한 저항의 분위기가 확산되어 갔다.
교육 기회가 늘어남에 따라 지식인이 양산되고, 경제력을 바탕으로 무사로서 입신하려는 사람들도 많아짐에 따라
정부에서는 문무 과거의 급제자를 크게 늘렸지만, 종래의 관직 체제와 인재 등용 방식으로는 더 이상 그들을 포섭할 수
없어 불만 세력은 점점 늘어났다. 특히 평안도는 활발한 상업 활동을 바탕으로 빠른 경제 발전과 역동적인 사회상을
보이고 있었으나 정치권력으로부터 소외되어 지역민들의 불만이 더욱 컸다. 그리고 농민들의 차별대우가 있었다
원인
표면적인 이유로는 조선 시대에 서북인을 일반적으로 문무 고관에 등용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격문에서
홍경래는 “임진왜란 때 재조(再造)의 공이 있었고, 종묘의 변에는 양무공(襄武公 : 정봉수)과 같은 충신이 있었다.
돈암(遯庵 : 선우협)·월포(月浦 : 홍경우)와 같은 재사가 나도 조정에서 이를 돌보지 않고,
심지어는 권문세가의 노비까지 서북인을 평한(平漢)이라고 멸시하니 분개하지 않을 수 없다.
국가 완급(緩急)의 경우에는 서북인의 힘을 빌리면서도 4백 년 동안 조정에서 입은 것이 무엇이냐?”라고 하였다.
조선에서 사실상 서북인을 중요한 자리에 임용하지 않았으나 이것이 정책적인 것은 아닌 듯하다.
선조 때 이이가 서북인의 수재(守宰 : 지방관)가 되는 자가 적으므로 지방 인재의 등용을 상책(上策)한 것은 이를
증명한다. 다만 중앙 정계에 진출하지 못하는 서북인의 불평불만을 이용하여 거사의 첫 조건으로 내세워 민심을
얻기로 꾀하였던 것이라고 하겠다.
다른 기록에 보면 사마시에 실패한 뒤 그 급제한 자를 보니 모두 귀족의 자제들이었다. 당시 과거 제도도 크게 부패하여
권문세가의 자제는 무학둔재(無學鈍才)라도 급제의 영예를 차지하고 그렇지 못한 자는 쉽게 성공할 수 없으며,
특히 평안도의 사람들을 제외하고 있으니, 이것이 홍경래로 하여금 개조범상(改造犯上)의 뜻을 굳게 하였다고 하였다.
이 밖에도 남양 홍씨가 조선에 들어오면서부터 위정자에 대한 불평, 즉 권력적 감정이 있었음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분노를 품은 홍경래는 일찍이 집을 떠나 각지로 방랑하면서 동지를 규합하였던 것이다. yellowday 옮김
'韓國史 알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조반정(仁祖反正) 1623 (0) | 2013.01.27 |
---|---|
이괄의 난(李适—亂) 1624 (0) | 2013.01.27 |
아관파천(俄館播遷) - (1896' 2/11-1897' 2/20) (0) | 2013.01.26 |
갑오경장<갑오개혁(甲午改革)> - 1894년 양력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8월까지 (0) | 2013.01.26 |
임진왜란(1592-1598), 정유재란 (1597) (0) | 201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