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묘사화 (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핵심인물을 몰아내어 죽이고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다. 조광조 등의 세력 확장과 위훈 삭제에 대한 불만이
원인 중 하나였다.
신진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정책 역시 그들을 지지하던 정광필, 안당 등의 반감을 사면서 지원받지 못하였다. 남곤, 심정, 김전,
홍경주, 고형산 등은 후궁과 궐내 세력을 이용하여 조광조일파의 제거 여론을 조성하여 제거하는데 성공한다. 이때 희생된
인물들은 후일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부른다.
중종은 당시 승지들도 모르게 대소신려들에게 갑자기 입궐명령을 내렸고, 홍경주, 김전, 남곤, 심정, 정광필, 안당 등은 갑자기
소환명령을 받고 경복궁의 북쪽 문이었던 신무문을 통해 들어와 승지들 모르게 회의를 열었다. 일명 북문지화(北門之禍)라고도 부른다.
원인
연산군 때의 무오·갑자사화로 김종직(金宗直) 일파의 신진 학자들은 거의 몰살당하여 유학은 쇠퇴하고 기강도 문란해졌는데,
연산군을 폐하고 왕위에 오른 중종은 연산군의 악정(惡政)을 개혁함과 동시에 중종 반정 이후 무한대로 축재와 권력남용을 하는
공신 세력을 견제할 목적으로 연산군 때 쫓겨난 신진사류를 등용하고, 대의명분과 오륜(五倫)의 도를 가장 존중하는
성리학을 크게 장려하였다.
이때 뛰어난 것이 조광조 등 젊은 선비들이었다. 조광조는 김종직의 제자 중 성리학에 가장 연구가 깊었던 김굉필(金宏弼)의 제자로
서 한국 성리학의 정통(正統)을 계승한 사람이었다. 1515년(중종 10년)에 성균관 유생 2백여 명이 연명(連名)하여 그를 천거하였고,
이조판서 안당(安塘)도 그를 추천하였으므로 곧장 6품의 관직에 임명되었다. 그 뒤 왕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전후 5년간에 걸쳐
정계에서 활약하게 되었다. 그는 유교로써 정치와 교화(敎化)의 근본을 삼아 삼대(三代)[1]의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김종직이 출사한 이래에 계속 중앙으로의 진출을 꾀하던 사림파의 뜻과도 부합되었으므로 이들은 중종의 영입 노력을 적극 수용하였다.
왕권 강화
중종 반정으로 공신이 된 박원종, 유자광, 유순정, 성희안, 홍경주 등은 권력을 장악 무한대로 세력을 확장했고,
이들 공신들의 권력 남용은 왕권을 넘보는 수준까지 도달했다.
왕권까지 우습게 보는 도를 넘어선 훈구파 공신들의 월권행위에 제동을 할 필요성을 느꼈던 중종은 새로운 대안 세력을 모색하게
된다. 또,중종 반정 이후 신료들 사이에 왕을 선택할수 있다(택군)는 사상이 은연중에 조성되어 중종 등의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결과
조광조는 능주(綾州)에 귀양갔다가 곧 사약(死藥)을 받고 죽었으며, 김정(金淨)과 기준(奇遵), 한충(韓忠), 김식(金湜) 등은
귀양갔다가 사형 또는 자살, 김구(金絿), 박세희, 박훈 등은 귀양을 갔는데 모두 30대의 청년이었다.
또 그들을 옹호하던 안당[5]과 김안국(金安國), 김정국(金正國) 형제와 김세필(金世弼)은 파면되었다.
뒤이어 김전은 영의정, 남곤은 좌의정이 되고, 이유청(李惟淸)은 우의정이 되었고 현량과도 곧 폐지되었다. 이 옥사가
기묘년(己卯年)에 일어났으므로 기묘사화라 하며, 이때 죽은 사람들을 후에 기묘명현(己卯名賢)이라 하였다.
한편 김종직의 문하생으로 훈구파와 함께 조광조일파의 숙청에 가담했던 남곤은 후배 사림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간사한 인물로 매도되었다. yellowday 옮김
'韓國史 알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오경장<갑오개혁(甲午改革)> - 1894년 양력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8월까지 (0) | 2013.01.26 |
---|---|
임진왜란(1592-1598), 정유재란 (1597) (0) | 2013.01.26 |
갑자사화 (甲子士禍) - 1504 (0) | 2013.01.25 |
무오사화(戊午士禍)-1498 (0) | 2013.01.25 |
을사사화(乙巳士禍) -1545 (0) | 201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