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詩 漢詩

제망매가(祭亡妹歌; 신라 월명사)

yellowday 2011. 3. 26. 22:16

[제망매가 원문]

[양주동 해석]

[김완진 해석]

 


[현대어 역]

  삶과 죽음의 길은
  이(이승)에 있음에 두려워하여
  나는(죽은 누이를 이름) 간다고 말도 못 다 이르고 갔는가(죽었는가)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지는 나뭇잎처럼
  같은 나뭇가지(한 어버이)에 나고서도
  (네가) 가는 곳 모르겠구나
  아으 극락세계에서 만나 볼 나는
  불도(佛道)를 닦으며 기다리겠다



[해설]

 죽은 누이에 대한 추모의 정을 노래한 작품으로, 누이의 죽음에서 오는 슬픔과 무상감을 종교에 귀의함으로써 극복하고 있다. 높은 서정성을 바탕으로 뛰어난 비유적 표현기교를 잘 살린, 향가의 白眉로 평가되고 있다.

<삼국유사> 권5 감통7 월명사 도솔가에 실려 있다.  기록에 의하면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비는 노래로, 작가가 제(齊)를 올리며 이 노래를 지어 불렀던 홀연히 바람이 불어 지전(紙錢)을 날려 서쪽(서방 극락세계의  방향)으로 사라졌다고 한다.

이 노래는 제의식에서  죽은 자의 명복을 빌기 위한 것이며 나아가 극락왕생을 천도한 노래로 일종의 축(祝)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그런 의식적 형태에만  얽매이지 않고 누이의 죽음을 계기로 하여  죽음에  대한 인식과 그것에서 느끼는 정서를 표현한 개성적인 서정시이기도 하다.


[핵심 정리]

▶ 작자 : 월명사
▶ 갈래 : 10구체 향가
▶ 연대 : 신라 경덕왕 때 (742-765)
▶ 어조 : 슬픔과 극복 의지의 독백조
▶ 내용 :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빈 추모의 노래로, 불교적 내용의 대표적 서정 시가
▶ 주제 :
누이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극복(죽은 누이를 추모함)

▶ 의의 : ① 향가 중 찬기파랑가와 함께 표현 기교 및 서정성이 뛰어나다.
              ② 불교의 윤회 사상이 기저를 이루고 있다.
              ③ 정제된 10구체 향가로 비유성이 뛰어나 문학성이 높다.
▷기타 : 일명
위망매영재가(爲亡妹營齋歌)라고도 한다.


[수능 기출 문제 : 1997학년도]

<보기>는 (가)시를 해석하는 여러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나)와 (다)의 시어 중, 이와 유사한 해석 방법을 적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문학적 상징에는 인류 문화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상징과 특수한 문화권에만 적용되는 상징이 있다. 이 시에 나타난 '길'이나 '가을' 같은 것은 동서양에서 모두 자주 다루어지는 문학 소재이지만, '미타찰(彌陀刹)'은 불교의 전통과 관련하여 동양권에서 독특한 의미를 지니는 시어이다. 이를 달리 말하면 우리 시를 잘 이해하려면 먼저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는 뜻도 된다.

① 강기슭         ② 뱃머리       ③ 흰옷자리기          ④ 골짜기         ⑤ 낙엽

<해설> [내적 준거에 따른 비판]  ①, ②, ④, ⑤는 동서양에서 모두 다루어지는 소재이지만 '흰옷자라기'는 한국 문화에서만 다루어지는 소재이다.   yellowday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