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망매가 원문] [양주동 해석] [김완진 해석]
| |
| |
[현대어 역] | |
[핵심 정리] | |
▶ 작자 : 월명사 ▶ 갈래 : 10구체 향가 ▶ 연대 : 신라 경덕왕 때 (742-765) ▶ 어조 : 슬픔과 극복 의지의 독백조 ▶ 내용 :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빈 추모의 노래로, 불교적 내용의 대표적 서정 시가 ▶ 주제 : 누이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극복(죽은 누이를 추모함) ▶ 의의 : ① 향가 중 찬기파랑가와 함께 표현 기교 및 서정성이 뛰어나다. ② 불교의 윤회 사상이 기저를 이루고 있다. ③ 정제된 10구체 향가로 비유성이 뛰어나 문학성이 높다. ▷기타 : 일명 위망매영재가(爲亡妹營齋歌)라고도 한다. [수능 기출 문제 : 1997학년도] <보기>는 (가)시를 해석하는 여러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나)와 (다)의 시어 중, 이와 유사한 해석 방법을 적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① 강기슭 ② 뱃머리 ③ 흰옷자리기 ④ 골짜기 ⑤ 낙엽 <해설> [내적 준거에 따른 비판] ①, ②, ④, ⑤는 동서양에서 모두 다루어지는 소재이지만 '흰옷자라기'는 한국 문화에서만 다루어지는 소재이다. yellowday 옮김
|
'옛글古詩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덕, 변계량, 김굉필 (0) | 2011.03.27 |
---|---|
조침문(弔針文) - 제침문(祭針文) (0) | 2011.03.27 |
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두보 (0) | 2011.03.26 |
등악양루(登岳陽樓) - 두보 (0) | 2011.03.26 |
두시언해 (조선 시집) [분류두공부시언해] (0) | 2011.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