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詩 漢詩

동명일기

yellowday 2011. 3. 24. 09:21

동명일기(東溟日記)

 

(전략)

 행여 일출(日出)을 못 볼까 노심초사(勞心焦思)하여, 새도록 자지 못하고, 가끔 영재를 불러 사공(沙工)다려 물으라 하니,

"내일은 일출을 쾌히 보시리라 한다."

하되, 마음에 미쁘지 아니하여 초조(焦燥)하더니, 먼 데 닭이 울며 연(連)하여 자초니, 기생(妓生)과 비복(婢僕)을 혼동하여 어서 일어나라 하니, 밖에 급창(及唱)이 와,

"감청 감관(官廳監官)이 다 아직 너모 일찍 하니 못 떠나시리라 한다."

하되 곧이 아니 듣고, 발발이 재촉하여, 떡국을 쑤었으되 아니 먹고, 바삐 귀경대(龜景臺)에 오르니 달빛이 사면에 조요(照耀)하니, 바다이 어제 밤도곤 희기 더하고, 광풍(狂風)이 대작(大作)하여 사람의 뼈를 사못고, 물결치는 소래 산악(山嶽)이 움직이며, 별빛이 말곳말곳하여 동편에 차례로 있어 새기는 멀었고, 자는 아해를 급히 깨와 왔기 치워 날치며 기생(妓生)과 비복(婢僕)이 다 이를 두드려 떠니, 사군이 소래하여 혼동 왈,

"상(常) 없이 일찌기 와 아해와 실내(室內) 다 큰 병이 나게 하였다."

하고 소래하여 걱정하니, 내 마음이 불안하여 한 소래를 못 하고, 감히 치워하는 눈치를 못 하고 죽은 듯이 앉았으되, 날이 샐 가망(可望)이 없으니 연하여 영재를 불러,

"동이 트느냐?"

 물으니, 아직 멀기로 연하여 대답하고, 물 치는 소래 천지(天地) 진동(震動)하여 한풍(寒風) 끼치기 더욱 심하고, 좌우 시인(左右侍人)이 고개를 기울여 입을 가슴에 박고 치워하더니, 마이 이윽한 후, 동편의 성쉬(星宿ㅣ) 드물며, 월색(月色)이 차차 열워지며, 홍색(紅色)이 분명하니, 소래하여 시원함을 부르고 가마 밖에 나서니, 좌우 비복(左右婢僕)과 기생(妓生)들이 옹위(擁衛)하여 보기를 죄더니, 이윽고 날이 밝으며 붉은 기운이 동편 길게 뻗쳤으니, 진홍 대단(眞紅大緞) 여러 필(疋)을 물 우희 펼친 듯, 만경창패(萬頃蒼波ㅣ) 일시(一時)에 붉어 하늘에 자옥하고, 노하는 물결 소래 더욱 장(壯)하며, 홍전(紅氈) 같은 물빛이 황홀(恍惚)하여 수색(水色)이 조요(照耀)하니, 차마 끔찍하더라.?숉빐?쇱텧


 붉은빛이 더욱 붉으니, 마조 선 사람의 낯과 옷이 다 붉더라. 물이 굽이져 치치니, 밤에 물 치는 굽이는 옥같이 희더니, 즉금(卽今) 물굽이는 붉기 홍옥(紅玉) 같하야 하늘에 닿았으니, 장관(壯觀)을 이를 것이 없더라.

붉은 기운이 퍼져 하늘과 물이 다 조요하되 해 아니 나니, 기생들이 손을 두드려 소래하여 애달와 가로되,

"이제는 해 다 돋아 저 속에 들었으니, 저 붉은 기운이 다 푸르러 구름이 되리라."

 혼공하니, 낙막(落寞)하여 그저 돌아 가려하니, 사군과 숙씨(叔氏)셔,

"그렇지 아냐, 이제 보리라."

하시되, 이랑이, 차섬이 냉소(冷笑)하여 이르되,

"소인(小人) 등이 이번뿐 아냐, 자로 보았사오니, 어찌 모르리이까. 마누하님, 큰 병환(病患) 나실 것이니, 어서 가압사이다."

하거늘, 가마 속에 들어앉으니, 봉의 어미 악써 가로되,

"하인(下人)들이 다 하되, 이제 해 일으려 하는데 어찌 가시리요. 기생 아해들은 철 모르고 즈레 이렁 구는다."

이랑이 박장(拍掌) 왈,

"그것들은 바히 모르고 한 말이니 곧이 듣지 말라."

하거늘, 돌아 사공(沙工)다려 물으라 하니,

"사공셔 오늘 일출이 유명(有名)하리란다."

하거늘, 내 도로 나서니, 차섬이, 보배는 내 가마에 드는 상 보고 몬저 가고, 계집 종 셋이 몬저 갔더라.

홍색(紅色)이 거록하여 붉은 기운이 하늘을 뛰노더니, 이랑이 소래를 높이 하여 나를 불러,

"저기 물 밑을 보라."?숉빐?쇱텧

 외거늘, 급히 눈을 들어 보니, 물 밑 홍운(紅雲)을 헤앗고 큰 실오리 같은 줄이 붉기 더욱 기이(奇異)하며, 기운이 진홍(眞紅) 같은 것이 차차 나 손바닥 넓이 같은 것이 그믐밤에 보는 숯불 빛 같더라. 차차 나오더니, 그 우흐로 적은 회오리밤 같은 것이 붉기 호박(琥珀) 구슬 같고, 맑고 통랑(通朗)하기는 호박도곤 더 곱더라.

 그 붉은 우흐로 훌훌 움직여 도는데, 처음 났던 붉은 기운이 백지(白紙) 반 장(半張) 넓이만치 반듯이 비치며, 밤 같던 기운이 해 되어 차차 커 가며, 큰 쟁반만 하여 불긋불긋 번듯번듯 뛰놀며, 적색(赤色)이 온 바다에 끼치며, 몬저 붉은 기운이 차차 가새며, 해 흔들며 뛰놀기 더욱 자로 하며, 항 같고 독 같은 것이 좌우(左右)로 뛰놀며,  황홀(恍惚)히 번득여 양목(兩目)이 어즐하며, 붉은 기운이 명랑(明朗)하여 첫 홍색을 헤앗고, 천중(天中)에 쟁반 같은 것이 수렛바퀴 같하야 물 속으로 치밀어 받치듯이 올라붙으며, 항, 독 같은 기운이 스러지고, 처음 붉어

 겉을 비추던 것은 모여 소혀처로 드리워 물 속에 풍덩 빠지는 듯싶으더라. 일색(日色)이 조요(照耀)하며 물결에 붉은 기운이 차차 가새며, 일광(日光)이 청랑(淸朗)하니, 만고천하(萬古天下)에 그런 장관은 대두(對頭)할 데 없을 듯하더라.

 짐작에 처음 백지 반 장만치 붉은 기운은 그 속에서 해 장차 나려고 우리어 그리 붉고, 그 회오리밤 같은 것은 진짓 일색을 빠혀 내니 우리온 기운이 차차 가새며, 독 같고 항 같은 것은 일색이 모딜이 고온 고로, 보는 사람의 안력(眼力)이 황홀(恍惚)하여 도모지 헛기운인 듯싶은지라.

의유당 관북 유람 일기(意幽堂關北遊覽日記)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요점 정리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작자 : 의유당 김씨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연대 : 조선 영조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갈래 : 고전 수필, 기행문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성격 : 묘사적, 사실적, 주관적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문체 : 묘사, 서사, 대화를 이용한 구체적, 묘사적, 사실적 문체, 산문체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구성 :
기 : 귀경대에 올라 추위를 참으며 일출을 기다림
승 : 동틀 무렵의 장관과 일출 여부에 대한 논쟁
전 : 일출의 장관(회오리밤 - 쟁반 - 수레바퀴)
결 : 일출을 본 후의 주관적인 감상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주제 : 귀경대에서 본 일출의 장관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표현 : 여성적인 섬세한 필치가 돋보이고, 순수한 우리말로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적절한 비유를 사용하여 한글의 산문의 모범이 되고, 양반부인 계층의 품위와 자세를 보여주고 있음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의의 : 여성의 섬세한 관찰과 필치가 돋보이는 기행 수필로, 우리 나라 고전 수필 문학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함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출전 : 의유당 관북 유람 일기(意幽堂關北遊覽日記)


출처: 구글            yellowday 옮김    

'옛글古詩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호별곡  (0) 2011.03.24
서경별곡  (0) 2011.03.24
황진이 시조모음  (0) 2011.03.24
천갈래 만갈래  (0) 2011.03.24
성산別曲  (0) 2011.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