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내뜻대로 살걸
② 일 좀 덜 할걸
③ 화 좀 더 낼걸
④ 친구들 챙길걸
⑤ 도전하며 살걸
만일 오늘이 삶의 마지막 날이라면, 무엇을 후회하게 될까? 돈이나 명예 따위가 아니라는 건 알겠지만 구체적인 답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임종의 순간을 미리 맞았던 타인들의 ‘깨달음’을 참고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영국 <가디언>은 1일 최근 영어권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책 <죽을 때 가장 후회하는 다섯가지>를 소개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말기 환자들을 돌봤던 간호사 보니 웨어가 블로그에 올렸던 글을 모아 펴낸 책이다.
가장 큰 회한은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맞추지 말고, 스스로에게 진실한 삶을 살 용기가 있었더라면’ 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은 삶이 끝나갈 때 쯤 돼서야 얼마나 많은 꿈을 이루지 못했던가 ‘명확하게’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어떤 것을 하거나 하지 않기로 한 자신의 ‘선택’ 때문에 꿈의 절반조차 이루지 못한 채 죽어야 한다는 것을 부끄러워했다.
‘일 좀 덜 할걸’ 하는 후회는 ‘모든 남성’에게서 나타난 공통점이었다. 그들은 회사에서 쳇바퀴를 도느라 아이들의 어린 시절과 배우자와의 친밀감을 놓친 것을 ‘깊이’ 후회하고 있었다.
죽기 전에 후회하지 않으려면,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도 서둘러야 할 듯 싶다. 임종을 앞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평화롭게 살기 위해 감정을 억압했던 ‘부작용’을 지적했다.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평범한 사람이 된 원인 역시 여기에서 찾았다. 냉소와 분노가 ‘병’을 만들었다고도 여겼다.
사람들은 또 임종 직전에야 ‘오랜 친구’의 소중함을 깨닫곤 했다. 하지만 막상 그땐 친구들의 연락처도 수소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yellowday 옮김
마지막으로 스스로를 좀 더 행복하게 놔두지 않은 것도 큰 아쉬움으로 남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랜 행동양식과 습관 속에서 친숙한 것이 주는 ‘편안함’에 머물러 살았다. 그들은 편안한 삶에 “만족한다”고 정당화해왔지만, 결국은 크게 웃고 삶의 활력소를 찾고 싶었다는 걸 깨닫고 이 세상을 떠났다.
'쉬어가는 亭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덮인 영하 13도 뉴욕 거리에 팬티만 입은 아이가… (0) | 2012.02.10 |
---|---|
나도 다 알고 있거든 (0) | 2012.02.03 |
오늘은 무엇하는 날인가? (0) | 2012.02.02 |
[스크랩] 여러분들이 살고 싶은 원룸을 골라 보세요.jpg (0) | 2012.01.30 |
어떤 중학교 황당한 국사 시험… 선생님 맞습니까 (0) | 201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