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詩 漢詩

처용가

yellowday 2011. 3. 21. 15:49

본문내용

2. 배경설화
제 49대 헌강대왕 대에는 서울에서 동해변까지 집들이 맞닿았으며 담장이 서로 이어졌고 초가는 한 채도 없었다. 길가에 음악이 끊이지 않았고 풍우가 사철 순조로왔다. 이에 대왕이 개운포에 놀러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물가에서 쉬었는데 홀연 구름과 안개가 캄캄하게 덮여 길을 잃게 되었다. 이상히 여겨 좌우 사람들에게 물으니 점성관이 “이것은 동해의 용이 변괴를 일으키는 것이므로 좋은 일을 행하여 풀어야 합니다”하였다. 유사에게 칙령을 내려 “용을 위하여 이 근처에 절을 짓도록 하라.” 하였다. 왕의 명령이 내리자마자 안개가 흩어져 이름을 개운포라 했다. 동해 용이 기뻐하여 아들 일곱 명을 데리고 임금 앞에 나타나서 대왕의 덕을 칭송하며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와 춤을 추었다. 아들 하나를 딸려서 서울로 보내어 왕의 정사를 돕도록 하였는데 그의 이름은 처용이었다. 왕은 미모의 여자로 아내를 삼아 주고 그의 뜻을 사로잡기 위하여 급간의 벼슬을 주었다. 그의 아내는 너무나 아름다워 역신이 탐을 내고 사람으로 변신하여 밤에 몰래 그 집으로 들어가 같이 잤다. 처용이 밖에서 돌아와 잠자리에 두 사람이 있는 것을 보고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났다.

  처용가 , 처용가 , 처용가


처용가(處容歌)

?댁셿洹쇨낵 ?댄븰以€???щ쭩??臾명븰

img1.gif

동경명기월량

야입이유행여가

입량사침의견곤

각오이사시량라

이힐은오하어질고

이힐은수지하언고

본의오하시여마어은

탈질량을하여위리고
 

?щ쭩??臾명븰


서울 밝은 달밤에

밤 늦도록 놀고 지내다가

들어와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둘은 내 것이지만

둘은 누구의 것인고?

본디 내 것(아내)이다만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        

10' 2/16 yellowday 옮김

'옛글古詩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도하가  (0) 2011.03.22
정읍사  (0) 2011.03.22
김삿갓이 금강산 노승을 찾아가서 詩짓기를 겨루다  (0) 2011.03.21
사미인곡 / 송강 정철  (0) 2011.03.21
이행의 시  (0) 2011.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