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4.20 17:02
양평 구정승골의 세번째 이야기는 영의정 문익공 한음 이덕형으로 오성과 한음으로 너무나 잘 알려진 바로 그 한음 대감이다.

한음(漢陰)은 광주이씨(廣州李氏)로 6대조는 우의정을 지낸 이인손, 5대조는 좌의정으로 연산군의 폭정을 바로잡으려고 애쓰다 조카 이세좌와 함께 사사된 이극균, 증조부는 이수총, 조부는 이진경이다. 지금의 서울 남대문과 필동 사이 성명방에서 외동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두뇌가 명석하고 글을 잘 하였다. 소년 시절 포천 외가에서 자랐는데 외삼촌이 영의정 류전이었다. 이때 어린 나이임에도 당대의 문장가인 양사언, 양사준, 양사기 형제와 시를 주고받으면서 어울렸다. 토정 이지함은 한음의 관상을 보고 반드시 큰 인물이 될 것이라 예언하고 영의정인 조카 이산해에게 사위 삼으라고 권하였다. 이런 인연으로 한음은 17세에 이산해의 딸인 한산이씨와 결혼한다.

한음은 18세에 생원시에 수석, 진사시에 3등으로 합격하여 이름을 날렸다. 20세에 문과 별시에 을과로 급제하는데 이때 25세인 오성 이항복은 알성시에 병과로 급제한다. 둘은 이때부터 친하게 지냈으며 대제학 이이의 눈에 들어 승승장구한다. 오성과 한음의 만남이다. 한음과 오성은 서로 같은 벼슬을 물려주고 받았다. 나이는 한음이 5살 어리지만 벼슬은 조금씩 앞섰고 그 후임을 오성이 받았다.
한음은 31세 때 대제학이 되었는데 조선조 최연소 기록이다. 32세 때인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두 사람은 선조의 의주 피난을 수행하고 명나라에 원군을 청하는 등 국난극복에 혼신을 다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서울로 돌아와 한음은 38세의 젊은 나이로 우의정에 오르고 이후 좌의정이 된다. 그리고 42세 때인 1602년 영의정에 오른다. 그러나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고, 임해군의 처형과 영창대군의 사사를 반대했다가 삭탈관직 되었다.
한음은 31세 때 대제학이 되었는데 조선조 최연소 기록이다. 32세 때인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두 사람은 선조의 의주 피난을 수행하고 명나라에 원군을 청하는 등 국난극복에 혼신을 다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서울로 돌아와 한음은 38세의 젊은 나이로 우의정에 오르고 이후 좌의정이 된다. 그리고 42세 때인 1602년 영의정에 오른다. 그러나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고, 임해군의 처형과 영창대군의 사사를 반대했다가 삭탈관직 되었다.

45세 때 모친과 부인의 묘소가 바라다보이는 운길산 수종사 아래에 별서(別墅) 대아당(大雅堂)을 지었다. 52세에 삭탈관직 되어 이곳 용진사재(龍津沙齋)에 머무르면서 실의에 빠지기도 하고 운길산에 올라 대궐이 있는 북쪽을 향해 대성통곡하기도 하며, 식음을 전폐하고 폐인이 되어가다가 마침내 숨을 거두니 공(公)의 나이 53세였다.

한음은 모친상을 먼저 당하고, 이어 임진왜란 중에 부인상을 당하였다. 이곳 구정승골로 어머니와 부인을 천장하여 모셔온 뒤에 본인이 돌아가셔 부인과 합장 되었고, 부친은 한음보다 5년 후 돌아가셔서 모친과 합장 되었다. 구정승골로 불리우는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골짜기, 김사형과 신효창의 묘에서 십리 가까이 나온 곳에 한음 대감 부모와 부부의 묘가 있으며 묘 아래에 재실과 신도비가 있다.
야사에 의하면 한음은 죽어서도 눈을 감지 않았다고 하는데 오성이 소식을 듣고 찾아와 곡을 하고서야 눈을 감았다고 한다. 오성은 한음의 시신을 직접 염습해주었다. 그리고 부인 한산 이씨가 먼저 묻힌 자리에 합장으로 장사지냈다.
야사에 의하면 한음은 죽어서도 눈을 감지 않았다고 하는데 오성이 소식을 듣고 찾아와 곡을 하고서야 눈을 감았다고 한다. 오성은 한음의 시신을 직접 염습해주었다. 그리고 부인 한산 이씨가 먼저 묻힌 자리에 합장으로 장사지냈다.


한음의 부인은 영의정 이산해의 둘째 딸로 임진왜란이 나자 시부모가 살고 계시던 강원도 안협으로 아이들을 데리고 피난하였는데 선조 25년(1592) 9월 6일, 왜군이 안협으로 들어온다는 소문이 나자 산으로 피하였다가 몸을 더럽힐 것을 염려하여 바위에서 뛰어내려 순절(殉節)하였다. 산기슭에 묻혔다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이곳으로 천장하였으며, 선조임금이 절개를 크게 칭송하여 정려문을 세워주었다고 한다.


한음 이덕형 대감의 외가는 포천이다. 그곳에서 양사언에게 글을 배우면서 40여 년의 나이 차를 넘어 '그대는 나의 적수가 아니라 나의 스승이다'라는 찬사를 받으면서 시적(詩的)으로 양사언과 교우관계(交友關係)를 맺었다고 한다. 그 봉래 양사언이 포천 금수정(金水亭)의 주인 문온공 김구용의 5대손 김윤복의 사위이니 앞서 살펴본 김사형과도 무관하지 않다.

한음을 말할 때 오성을 빼놓을 수 없는데 오성 이항복이 권율의 사위라면 한음 이덕형은 이산해의 사위이니 관계(官界)에서 보이지 않는 영향력도 컸으리라. 그러나 그럼에도 한음의 인간적 풍모와 원만한 성품 탓으로 존경받는 것이며, 최고의 자리 영의정까지 올랐지만,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여느 장수 못지않게 구국에 애쓴 선비로 추앙을 받은 후 마침내 광해의 폐모살제(廢母殺第)에 반대하다가 삭탈관직 되어 53년의 생을 마쳤으니 오늘날 광주 이씨를 명문가로 만든 근원이 아닌가 싶다. 조닷
'역사속의 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알래스카 매입 주도한 윌리엄 수어드 (0) | 2020.11.13 |
---|---|
공자의 생애와 그 시대 (0) | 2018.07.25 |
"내 주둥이가 둘이니 말 잘하는 게 당연"… 자칭 國寶라 칭했던 기인 (0) | 2017.12.18 |
백기완(白基玩, 1932년 1월 24일 ~ ) (0) | 2017.11.18 |
영의정에 8번이나 오른 조선의 융합형 인물 최석정 (0) | 2017.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