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4.03.17 03:02
[7] 어렵기만 한 시사용어
한글만 표기하면서 뜻도 실종… 틀리게 해독하는 사람들 많아
대구의 자영업자 정모(51)씨는 최근 서울의 한 사립대에 입학한 딸을 기숙사에 들여보내려고 선발 절차를 알아보다가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을 우선 선발한다'는 문구를 봤다. '기초생활수급자'란 대략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는 저소득계층'이란 뜻이겠거니 했지만, '차상위계층'은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었다. 이리저리 찾아보니 '최저생계비의 100~ 120% 소득 가계로, 4인 가족 소득 기준으로 월 164만~196만원인 가정'을 의미하는 말이었다.
그런데 여전히 잘 이해가 가지 않았다. "그런 사람들이 왜 '차상위계층'인 거지?" 대학교수인 동창에게 전화를 걸어 물어본 끝에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바로 위의 계층'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하지만 '(최하위 계층의) 다음(次·차) 위(上·상) 자리(位·위) 계층'이라는 한자 뜻을 모른 채 한글로만 써 놓은 용어를 봐서는 전혀 모를 노릇이었다.
그런데 여전히 잘 이해가 가지 않았다. "그런 사람들이 왜 '차상위계층'인 거지?" 대학교수인 동창에게 전화를 걸어 물어본 끝에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바로 위의 계층'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하지만 '(최하위 계층의) 다음(次·차) 위(上·상) 자리(位·위) 계층'이라는 한자 뜻을 모른 채 한글로만 써 놓은 용어를 봐서는 전혀 모를 노릇이었다.
◇한자 없애 더 어려운 경제 용어
최근 신문 경제면에 자주 등장했던 금융상품 중 '재형저축'이 있다. 17년 만에 부활한 이 상품은 연봉 5000만원 이하 근로자나 연소득 3500만원 이하 자영업자만 가입 가능한 비과세 통장으로, '서민들의 목돈 마련 수단'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역시 한글로 쓴 용어만 봐서는 왜 '재형저축'이라 하는지 알기 힘들다. 재형저축(財形貯蓄)이란 '근로자 재산 형성 저축'의 준말이다. 이 상품이 유행했던 1976~1995년에는 한자로 쓰는 일이 많아 혼란이 별로 없었지만 시대를 건너뛰어 한글 표기만 남으니 '뜻'이 실종돼 버린 경우다.
포털 사이트 지식 문답란에 한 네티즌이 "'수의계약'이 정확히 어떤 뜻인지 알고 싶습니다"란 질문을 남겼다. '베스트 답변'은 이랬다. "간단한 예로 설명드릴게요. 교육청에서 학교 급식 재료를 납품하는 기업을 선택하는데 임의로 한 기업을 선정해 계약을 합니다. 단점은 부정부패가 있을 수 있다는 거고 장점은 입찰 경쟁 과열로 질이 낮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겁니다." 물론 처음부터 수의계약(隨意契約)이 '자기 뜻(意·의)에 따라(隨·수) 상대편을 골라서 맺는 계약'이란 것을 알았다면 이렇게 긴 설명은 불필요했을 것이다.
◇잘못 알고 있는'시정연설'
대통령이 시정연설을 하면 '시정연설'이란 단어가 포털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오른다. 역시 한글로만 적혀 있으니 시정연설(施政演說)이 '정치(政·정)를 시행(施·시)하는 것과 관련한 연설'이라는 뜻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시정(始政·정치를 시작함)연설'이나 '시정(是正·잘못된 것을 고침)연설', '시정(市井·인가가 모인 곳)연설' 정도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도 많다.
최근 뉴스에 곧잘 등장하는 '대사공학'이란 단어에 대해 한 과학 용어 사전은 '물질대사 과정에 포함된 경로에 조작을 가하여 변화시키거나 혹은 새로운 물질대사 경로를 만드는 기술'이라 풀이했다. '대사'가 무슨 뜻인지 모른다면 하나 마나 한 설명이다. 대신할 대(代), 물러날 사(謝)를 써서 '새것이 들어오는 대신(代)에 헌것이 물러남(謝)'이라는 뜻을 알면 '물질을 섭취하는 대신 노폐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말한다는 것도 알기 쉽게 된다.
'知識있는 서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스(MICE) (0) | 2014.03.26 |
---|---|
콤팩트 시티(Compact city), 세계지도 (0) | 2014.03.20 |
'동대문운동장' 82년 역사... 그리고 오늘 (0) | 2014.03.15 |
글로벌 성장엔진 중국, 심상찮은 '3大 리스크' (0) | 2014.03.15 |
한자의 버뮤다 삼각수역(三角水域) (0) | 201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