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1551년)은 조선 시대의 여류 문인이자 화가이다. 5만원권의 도안 인물이기도 하다.
생애 [편집]
신사임당은 강원도 강릉 태생으로 그의 생가 오죽헌은 지금도 보존되고 있다. 사임당의 형제 중에는 아들은 하나도 없고 딸만 다섯이었는데, 사임당은 그 중에서 둘째 딸이었다. 그는 외할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을 한몸에 받고 자랐다. 왜냐하면 사임당의 행동과 재주가 남달랐기 때문이었다. 본명은 신인선이었다. 아버지는 신명화(申命和)라는 이름의 선비였고, 어머니는 용인 이씨 집안의 선비인 이사온의 딸이었다. 스스로 사임당(師任堂)이라는 호를 지었는데, 주나라의 기틀을 닦은 문왕[1]의 어머니 태임(太任)에서 따왔다고 전한다.[2] 그 외에 인임당(姻姙堂) 또는 임사제(姙師齊)라는 호도 가졌다고 한다.
1522년 덕수 이씨의 이원수(李元秀)와 결혼하여 강릉에서 서울로 이사했으며 4남 3녀를 두었다. 율곡 이이는 신사임당의 셋째 아들이다. 그는 뛰어난 화가로서 7살 때 세종 시대의 화가 안견의 그림을 본따서 그림을 그렸고, 숙종, 송시열, 이형규 등 여러 지식인들이 그가 그린 그림에 발문을 쓸 정도였다. 서예가이자 시인이기도 한 그는 '어머니가 그리워'(思親)등의 한시(漢詩)를 여러 편 지었다. 별세 당시 그녀의 나이는 48세였다.
yellowday 옮김
'韓國史 알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치원(崔致遠) (0) | 2011.04.09 |
---|---|
우장춘(禹長春) (0) | 2011.04.09 |
허난설헌(許蘭雪軒) (0) | 2011.04.09 |
장조(莊祖)= 사도세자 (장헌세자) (0) | 2011.04.09 |
헌경왕후 홍씨-(혜경궁 홍씨) (0) | 2011.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