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무진
위 치 :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백령도는 우리 땅의 서쪽 끝이자 북쪽 끝이다. 중국 산둥반도와 190여 km, 북한의 황해도 장연군과는 10km 거리다.
백령도와 인천을 오가는 뱃길이 200km 남짓이니 서울보다 북한이나 중국과 가까운 셈이다. 그러다 보니 백령도는 예나 지금이나
군사적으로, 또 문화 교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백령도가 군사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는 지도만 봐도 알 수 있다. 서해 북방 한계선을 따라 북쪽으로 불쑥 올라선 백령도는 보기에도
어색할 정도다. 이 같은 지리적 위치가 서해의 외딴섬 백령도를 한국전쟁 당시 군사적 요충지로 주목받게 만들었다.
특히 휴전을 앞둔 전쟁 막바지에는 수시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 [왼쪽/오른쪽]동키부대 막사 / 동키부대 우물
그 중심에 동키부대(백호부대)가 있다. 동키부대의 전신은 장연군 무장대. 북한 지역에서 활동하던 이들은 1·4 후퇴 이후 백령도로 숨어들었고, 미군에 의해 유격·첩보 부대로 재편됐다. 백령도와 대청도를 주둔지로 삼은 동키부대는 휴전될 때까지 수많은 전공을 세웠다.
전쟁의 판세를 뒤집은 인천 상륙작전이 성공한 것도, 서해 북방 한계선이 지금의 위치가 된 것도 그들이 있기에 가능했다.
백령면 진촌리 ‘진촌공공하수처리시설’ 옆에는 동키부대원들이 사용하던 작은 우물이 있는데, 그 맞은편 막사가 동키부대원들이
머무르던 곳이다. 북한의 장연군이 바라보이는 백령면 진촌면 마을 언덕에는 이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유격군 백호부대 전적비가 세워졌다.
- 유격군백호부대전적비
종교의 씨앗이 뿌리내린 곳이 백령도이기 때문이다.
- [왼쪽/오른쪽]백령기독교역사관과 중화동교회 / 백령기독교역사관 내부
한국의 서해안에서 해로탐사를 실시했던 것. 이를 계기로 16년 뒤인 1832년에는 최초의 내한 선교사 귀츨라프가 백령도를 찾았다.
- 백령기독교역사관 전시물
두 번째로 세워진 장로교회로, 백령도에 있는 모든 교회의 모교회(母敎會)다. 백령도의 선교 역사는 중화동교회 옆에 있는
백령기독교역사관에서 살펴볼 수 있다. 중화동교회 입구 계단에서 만나는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천연기념물 521호)도
놓치지 말자. 높이 6.3m에 수령 100년 안팎으로, 국내에서 가장 큰 무궁화로 알려져 있다.
- 백령성당
- 백령성당에 안치돼 있는 김대건 신부 유해 일부
백령면 진촌리에 위치한 백령성당에는 김대건 신부의 유해 일부가 안치돼 있다.
- 두무진 형제바위
애칭에 걸맞은 절경을 자랑한다. 해안가에 늘어선 거대한 암석들이 마치 무리 지어 있는 장군들의 모습을 닮았다고 해서
두무진이라 이름 붙은 이곳은 명승 8호로 지정되었다.
- 두무진 일몰
두무진 포구에서 이어지는 호젓한 산책로를 따라가면 된다.
- [왼쪽/오른쪽]심청각 / 심청각 전시물
- 사곶해변
해변으로 유명하지만, 4km에 이르는 해변과 완만한 수심 등 해수욕장으로도 더없이 좋은 조건을 갖춘 곳이다.
해변에서 호젓한 휴식을 즐기고 싶다면 이만한 곳도 없지 싶다.
- [왼쪽/오른쪽]콩돌해변 / 콩알을 닮은 자갈
잠시 여유를 즐겨보는 것도 괜찮다.
- [왼쪽/오른쪽]사자바위 / 용기포등대
용기포 구(舊) 선착장에서 이어지는 용기포 등대와 등대해변은 두무진과는 또 다른 멋을 자랑하는 기암을 만날 수 있는 곳이며, 고봉포구의 사자바위와 창촌포구의 용트림바위도 멋스럽다.
- 등대해변
- 용기원산에서 바라본 사곶해변
<당일 여행 코스>
동키부대 우물 및 막사→백령성당→사곶해변→중화동교회→두무진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등대해변(용기포등대)→사곶해변→콩돌해변→중화동교회→두무진 일몰→숙박
둘째 날 / 용기원산 전망대→동키부대 우물 및 막사→백령성당→심청각→사자바위 트래블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