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 |
|
병자호란 (丙子胡亂)은 1636년 12월부터 1637년 1월 사이에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으로, 청나라의 홍타이지가
조선에 제2차로 침입함으로써 발발하였다. 병자호란은 조선 역사상 가장 큰 패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몽골에 대한 항쟁이
40여 년간 지속되었고, 임진왜란에서는 7년간의 싸움 끝에 왜군을 격퇴한 데 반하여, 병자호란은 불과 두 달 만에
조선의 굴복으로 끝나고 말았다.병자년에 시작하여 이듬해인 정축년에 끝났으므로 병정노란(丙丁虜亂)이라고도 한다.
어디까지나 국가와 국가 간의 전쟁이므로 '호란'이라는 표현이 적합하지 않다는 시각이 있다.
개요
정묘호란 이후, 후금과 형제의 맹약을 맺은 조선은 강화조약을 체결한 뒤에도 친명배금 정책을 견지하고 있었다.
당시 청으로 국호를 고친 홍타이지(숭덕제)는 명과의 전면전 전에 친명 성향의 조선을 확실하게 무력화시키고 기근으로 인한
경제적 위기 타개를 위해 조선을 확실히 굴복시키려 했으며, 1636년 12월 10만 대군을 거느리고 압록강을 건너 조선을 침공했다.
이들에게 쫓겨 남한산성으로 조정을 옮긴 인조는 끝까지 대항했으나, 식량 부족과 추위로 인해 패배하고 1637년 음력 1월 30일
삼전도에서 홍타이지에게 삼배구고두례의 굴욕적인 항복 의식을 거행하였다.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비롯한 수십여명이
청나라에 끌려간다. 이 사건을 삼전도의 굴욕이라고 한다.
청군은 평안도와 황해도의 군사를 무시하고 쾌속 진격, 임금인 인조를 사로잡는 것만을 목표로 했으므로, 전쟁은 임진왜란과 달리
단기전으로 끝났다. 그러나 수십만명이 포로로 잡혀가고, 국토가 황폐화 되는 등 그 피해는 만만치 않았다.
거기다 오랑캐라 여기던 만주족 군대에 굴복했다는 것은 소중화를 자처하던 조선에 엄청난 정신적 공황과 충격을 주기에
충분했으며, 이후 임경업을 영웅으로 묘사한 《임경업전》이나 《박씨전》등의 군담 소설의 소재가 될 정도로 조선인들에게
정신적인 상처를 주었다.또한, 병자호란으로 인해 정립된 청과 조선의 역학관계는 이후 청일전쟁 이후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청이 조선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할 때까지 약 250여년간 계속되었다.
배경
여진족은 그들이 세운 금나라가 몽골의 침략을 받아 멸망한 후 만주 일대에 흩어져 살고 있었다. 통일된 세력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던 이들은 명나라와 조선 모두에 대하여 이중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던 중 여진의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규합,
16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여진을 통일하기에 이르렀다. 그에 비해 명나라의 국력은 날로 쇠약해져 갔는데, 잦은 군대 동원과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명나라의 몰락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누르하치가 명나라에 대하여 전쟁을 선포하고 공격해 수세에 몰리자 명나라는 조선에게 소총수 7000명을 준비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자 누르하치는 군대를 파견하지 말 것을 조선 정부에 강력히 요구했다. 당시 조선 정부는 광해군과 그의 즉위를 도운 대북이
정권을 장악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조선이 국내 수비에 치중하는 것이 후방 수비라는 차원에서 유익하다며 명나라의 요구에
미온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원군을 파병해 도운 일을 감안하면 원병을 파병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광해군은 명나라에 원군을 보내되 싸움이 시작될 경우 항복해 조선의 파병이 부득이 했음을 설명하도록 하여 화평을
성립시켰다.
전쟁의 발발
1636년 12월 2일(음력), 홍타이지가 이끄는 약 10만의 청군이 압록감을 도하함으로써 병자호란이 발발했다. 이 사실이 한성에
알려진 것은 12월 12일이었는데, 이 때 청군은 이미 개성 근처까지 진출해 있었다. 청군의 침입 소식을 듣고 인조는 강화도로
몽진하려 했으나 청군의 진격 속도가 빨라 시간이 부족하자 12월 14일 밤, 남한산성으로 향할 수밖에 없었다. yellowday 옮김
'韓國史 알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오사화(戊午士禍)-1498 (0) | 2013.01.25 |
---|---|
을사사화(乙巳士禍) -1545 (0) | 2013.01.25 |
'작은 광개토왕릉비' 中서 발견… "고고학 대사건" (0) | 2013.01.17 |
서포김만중과 남해 노도 (0) | 2012.06.15 |
송순 (宋純·1493∼1582) 호남 사림의 영수, 비참한 민생을 품어 (0) | 2012.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