育兒에 도움이

유아에 쓰는 물티슈·세정제, 발암물질 조사 안해

yellowday 2012. 10. 22. 17:16

입력 : 2012.10.22 03:02 | 수정 : 2012.10.22 15:54

식약청, 5종 평가서 제외… 알레르기 유발 8종도 빠져

영·유아와 어린이들에게 자주 사용되는 물티슈와 세정제의 위해성분 평가에서 암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들이 다량 제외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때문에 특히 피부가 약한 아기들이 접촉성피부염을 앓고, 발암물질이 있는 물티슈를 입에 넣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21일 본지가 입수한 식품의약품안전청 국정감사 자료(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용익 의원에게 제출)에 따르면 식약청이 진행하는 세정제와 물티슈 제품의 위해성분 평가에서 알레르기나 암을 유발할 수 있어 시급한 조사가 필요한 13개 물질이 빠진 것으로 드러났다.

가습기살균제로 산모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등 사회적 문제가 커지자 정부는 지난해 12월 '생활화학용품 안전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식약청·국립환경과학원 등과 학계·전문가 13명으로 구성된 '생활화학용품 전문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방향제와 탈취제는 환경부가, 세정제와 물티슈를 식약청이 맡아 물질의 위험성을 확인하기로 했다.

식약청은 세정제와 물티슈에 포함된 화학물질 2376개를 정리해 400개 물질을 평가하기로 했다. 올해에는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 등 15개 물질을 선정해 자료 조사 및 위해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가운데 접촉성피부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디엠디엠히단토인' 등 8개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과, 1급 발암물질인 '산화에틸렌' 등 발암물질 5개를 합쳐 모두 13개 물질이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정부는 예산과 인력 부족 때문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원칙적으로 위해평가가 필요해서 행정안전부에 조직과 정원을 늘려달라고 요청했는데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예산과 인력이 부족해서 당장 평가를 진행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발암성 물질은 제품 특성상 호흡기로 직접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우선순위에서 밀린 것"이라고 했다. 방부제나 방충제, 소독제 등은 관리 부처가 결정되지 않아 검토조차 되지 않고 있다.

김용익 의원은 "세정제나 물티슈는 영·유아나 어린이들이 자주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가장 우선적으로 관리돼야 한다"며 "예산이나 인력 문제를 들며 위해성 평가를 미루는 것은 보건당국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김 의원은 "국가 차원의 독성 관리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생활화학용품 전문위원회는 지난해 11월 세정제와 방향제, 탈취제, 물티슈 제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업체들에 제품에 포함돼 있는 화학성분을 제출하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조사 대상 3437개 제품(1603개 업체) 중 19.8%인 681개 제품(305개 업체)만이 자료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