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2.05.20 23:01
우리가 형제라는 걸 알아들 보시겠소?
세 사람 중 가운데 있는 인물은 옷에 두른 띠가 다르다. 황금색 테두리 안에 붉은 장식이 든 학정금대(鶴頂金帶)다. 그는 수사(水使)를 거쳐 통제사를 지낸 조계(趙啓·1740~1813)다. 그 양 옆에 나란히 앉은 두 사람은 같은 모양의 띠를 찼다. 왼쪽이 조두(趙山斗·1753~1810), 오른쪽이 조강(趙岡·1755~1811)이다. 둘 다 부사(府使) 벼슬을 했고 병조판서에 추증됐다. 외자 돌림의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들은 형제다. 삼형제가 한 화면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초상화는 이 작품뿐이다. 이들을 한데 모은 사정이 있었을까.
가문의 살붙이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벼슬길로 나아간다. 그것도 모조리 삼품(三品) 이상 고위직에 오른다. 참 가슴 벅찬 출세다. 바로 조씨 형제들이 그랬다. 과거 급제자를 알려주는 방(榜)꾼이 동네방네 큰소리로 형제의 이름을 외쳐대는 순간 집안의 살림이 피기 시작하고, 이를 지켜보는 윗대와 아랫대는 더불어 어깨춤이 났을 테다. 당연히 누대에 두고두고 이야기꽃을 피울 거리가 필요했다. 이게 이 초상화가 그려진 이유다. 개인의 명예와 가문의 영광을 내세우는 '인증샷'으로 초상화만 한 것이 있을까.
가문의 살붙이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벼슬길로 나아간다. 그것도 모조리 삼품(三品) 이상 고위직에 오른다. 참 가슴 벅찬 출세다. 바로 조씨 형제들이 그랬다. 과거 급제자를 알려주는 방(榜)꾼이 동네방네 큰소리로 형제의 이름을 외쳐대는 순간 집안의 살림이 피기 시작하고, 이를 지켜보는 윗대와 아랫대는 더불어 어깨춤이 났을 테다. 당연히 누대에 두고두고 이야기꽃을 피울 거리가 필요했다. 이게 이 초상화가 그려진 이유다. 개인의 명예와 가문의 영광을 내세우는 '인증샷'으로 초상화만 한 것이 있을까.
- '조씨 삼형제 초상' - 작자 미상, 비단에 채색, 42.0×66.5㎝, 18세기,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옛그림 옛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요절한 아저씨, 기억으로 되살려… 유족 울음바다 (0) | 2012.09.14 |
---|---|
[12] 얼마나 염불했길래 염주 알이 저리 투명할꼬 (0) | 2012.09.14 |
[10] 그날 그녀는 알았다, 죽음과 입맞추리라는 걸 (0) | 2012.09.12 |
[9] 배운 자 나약함 다그치는 안경 속 그 눈길 (0) | 2012.09.12 |
[8] 희한한 패션의 이유 "벼슬 높아도 욕심 낮춰" (0) | 201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