格物致知(격물치지)
[格 (바로잡을 격), 物 (만물 물), 致 (보낼 치), 知 (알 지)]
*풀이: 사물의 이치나 도리를 긍구하여 후천적 지식을 명확히 함
[출전] <대학(大學)>의 '팔조목(八條目)'
사서(四書)의 하나인 <대학(大學)>은 유교의 교의(敎義)를 간결하게 체계적으로 서술한 책으로서 그 내용은 삼강령(三綱領: 明明德, 新民, 止於至善), 팔조목(八條目: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으로 요약된다.
사물의 이치나 도리를 긍구하여 후천적 지식을 명확히 한다는 뜻으로, 아래 글은 대학에 나오는 군자가 되기 위한 여덟가지 조항이다.
옛날 밝은 덕을 천하에 밝히려는 자는 먼저 그 나라를 다스려야 하고
그 나라를 다스리려는 자는 먼저 그 집안을 바로잡아야 하며
그 집안을 바로잡으려는 자는 먼저 그 몸을 닦아야 하고
그 몸을 닦으려는 자는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해야 하며
그 마음을 바르게 하려는 자는 먼저 그 뜻을 정성스럽게 해야 하고
그 뜻을 정성스럽게 하려는 자는 먼저 그 앎을 극진히 해야 하나니
앎을 극진히 함은 격물에 있다.
즉 격물치지 성의정심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이다.
이 글에서 격물과 치지에 관한 해석은 예로부터 의견이 분분하고 명확하지 못했다.하지만 송나라 때 주사가 명쾌한 의견을 제시했는데, 그는 만물은 모두 이치를 가지고 있는 바 그 이치를 하나하나 캐어 들어가면 활연히 만물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보았다. 즉 격물치지를 사물의 이치를 속속들이 파고 들어 깊게 연구함으로서 지식을 이루어 가는 것으로 해석했다
그런데 명나라의 왕양명은주자의 가르침대로 정원의 대나무를 며칠째 밤낮을 두고 응시하면서 대나무의 이치를 캐고자 하다가 7일만에 졸도하고 말았다. 그래서 그는 주자의 학설에 의문을 품었다. 대나무 한 그루의 이치도 풀지 못하는데 사물의 모든 이치를 터들할 수 있을까? 차라리 마음을 닦아 실제 활동으로 옮겨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그는 격물치지를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참고: <대학〉의 8조목 격물·치지·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에서 가장 철학적인 조목.
격물치지에 관한 논의는 주희가 〈예기〉 중의 일편인 〈대학>, 이른바〈고본대학 古本大學>을 개정하여 〈대학장구>를 지으면서 활발해졌다. 주희는〈고본대학〉의 순서를 세 군데 이동하고 1자를 고치며 4자를 삭제하고 134자를 새로이 지어 경(經) 1장과 전(傳) 10장으로 구성된〈대학장구〉를 만들었던 바, 그 논의의 핵심은 특히 전 5장의 격물치지보망장(格物致知補亡章)이었다.
<대학장구〉에 따르면 그 이론의 주된 내용은 즉물궁리(卽物窮理)로 다음과 같다.
"치지재격물(致知在格物)이란 나의 아는 것을 이루고자 하면 사물에 나아가서 그 이치를 궁구해야 함을 말하는 것이다. 대개 사람의 마음이 신령한 것으로 알지 못하는 것이 없고 천하에 사물의 이치가 없는 데가 없지만 오직 이치에 궁진하지 못하는 것이 있으므로 다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 그러므로 대학을 처음 가르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배우는 자로 하여금 천하의 사물에 나아가서 이미 아는 이치를 바탕으로 하여 더욱 궁구해서 극진한 데 이르는 것을 구하지 않는 것이 없게 하고, 힘을 쓰는 것이 오래되면 하루 아침에 확연히 관통하게 되어 모든 사물의 겉과 속, 정한 것과 거친 것이 이르지 아니함이 없고 내 마음 전체의 작용이 밝지 않은 것이 없으므로 이것이 사물의 이치가 구명되는 것이며, 이것이 곧 지혜가 지극하게 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인식주관으로서의 마음의 이(理)와 인식객관으로서의 사물의 이가 상응하기 때문에 우리의 인식은 가능한데, 오늘 한 사물의 이를 탐구하고, 또 내일 한 사물의 이를 탐구하여 지식을 확충하면 자연히 우리는 활연관통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격물치지는 결국 마음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왕수인은 격물치지를 심즉리 체계 안에서 설명하고 있다. 격물치지는 다름아닌 우리의 마음을 바로잡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옛글古詩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백이와 숙제도 도둑놈 (0) | 2011.12.13 |
---|---|
옛 어르신들의 시조 모음 (0) | 2011.11.08 |
[스크랩] 과유불급(過猶不及) - 사사 편찬, 사보 제작 전문회사 북아뜨리에 고사성어 (0) | 2011.10.31 |
안진경 (顔眞卿 ; 709~785) (0) | 2011.06.10 |
赤壁江에서 최후를 (0) | 2011.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