過猶不及(과유불급)
[過(지날 과), 猶(같을 유), 不(아니 불), 及(미칠 급)]
*풀이: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는 뜻.
[출전]《論語》〈先進扁〉
*유래: 자장(子張)은 잘생겼고 성격이 원만하고 적극적인 인물이었다. 하여서 제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제자들은 나서기를 좋아하는 그를 가까이 사귀되 공경하지 않았다. 반면 자하(子夏)는 강직하고 의로우나 소극적이었다. 항상 질문 잘하는 제자 자공(子貢)과 스승 공자(孔子)가 두 사람을 놓고 나누는 대화가 무척 흥미롭다.
어느 날 제자인 자공(子貢:B.C. 520∼456)이 공자에게 물었다.
“선생님, 자장(子張)과 자하(子夏) 중 어느 쪽이 더 현명합니까?”
공자는 두 제자를 비교한 다음 이렇게 말했다.
“자장은 아무래도 매사에 지나친 면이 있고, 자하는 부족한 점이 많은 것 같다.”
“그렇다면 자장이 낫겠군요?”
자공이 이렇게 묻자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렇지 않다. 지나침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子貢問師與商也 孰賢 子曰 師也過 商也 不及 曰 然則師愈與 子曰 過猶不及
(자공문사여상야 숙현 자왈 사야과 상야 불급 왈 연측사유여 자왈 과유불급)
공자는 자장의 지나친 성격이나 자하의 소극적인 성격도 모두 문제가 있다고 평가(評價)한다. 여기서 공자는 양극단의 치우침이 없는 중용(中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탐욕을 억누르는 수단을 말할 때, 이용되는 도구로 계영배(戒盈杯)란 술잔이 있다. 이 잔은 과음을 경계하기 위해 70%가 차면 새어 나가도록 설계 되었다고 한다. 넘치면 곧 아무것도 없는 것과 같다는 메시지다. 인간의 무한한 욕심을 경계하며 자기의 분수에 맞는 삶을 살 것을 가르쳐 주는 그릇이다. 공자도 이 잔을 항상 곁에 두어 과욕(過慾)과 지나침을 경계(警戒)하였다고 전해진다.
*[주]
자공 : 성은 단목(端木), 이름은 사(賜). 위(衛)나라 출신으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정치에 뛰어난 후에 노(魯)나라 위(衛)나라의 재상을 역임함. 제자 중에서 제일 부자였으므로, 경제적으로 공자를 도왔다고 함.
자하 : 성은 복(卜), 이름은 상(商). 공문 십철(공자의 10대 제자)의 한 사람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난 후에 위(魏)나라 문후(文侯)의 스승이 됨. 공문 중에서 후세에까지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제자로, 공자가 산정(刪定)한 《시경(詩經)》《역경(易經)》《춘추(春秋)》를 전했다고 함.
'옛글古詩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 어르신들의 시조 모음 (0) | 2011.11.08 |
---|---|
[스크랩] 격물치지(格物致知) - 정태욱의 5분 고사성어 (0) | 2011.10.31 |
안진경 (顔眞卿 ; 709~785) (0) | 2011.06.10 |
赤壁江에서 최후를 (0) | 2011.06.01 |
깨달음의 경지에 (0) | 2011.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