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의 램프' 신용카드
동화가 아닌 현실 세계에서도 만능의 '알라딘 램프'가 엄연히 존재한다. 주문을 외우는 대신 자기만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다를 뿐이다. 바로 신용카드다. 아침에 지하철이나 시내버스로 출근할 때 교통카드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직장 동료들과 점심식사를 하고도 플라스틱 카드로 한 번 긁기만 하면 결제가 간단히 끝나게 마련이다. 백화점 쇼핑은 물론 영화관에 들러서도 마찬가지다. 늦게 귀가하면서 택시를 잡아타는 경우에도 요금 영수증까지 발급 받을 수 있다. 신용카드의 장점은 무엇보다 계좌에 잔액이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무일푼으로 외상 거래를 하면서도 아쉬운 소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다. 결제일까지 채워 넣기만 하면 우수고객 대접을 받기도 한다. 그뿐이 아니다. 주유소를 비롯해 레스토랑, 제과점,놀이동산 등을 이용할 때 할인 혜택까지 주어진다. 당장 급전이 필요하면 카드로 현금을 꺼내 쓰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편리하기 때문에 직장인마다 네댓 장씩의 신용카드를 지갑에 넣고 다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도 신용카드 회사들의 서비스 경쟁은 그칠 줄 모른다. 더 많은 고객을 잡기 위해서다. 사용액에 대한 포인트 혜택은 물론 상품 구매 할인 및 무담보 신용대출 등 부가서비스 확대를 놓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 6월말 현재 신용카드 발급장수가 무려 1억 1천만장을 넘어섰다. 거기에 신용카드 결제건수와 결제 금액도 각각 큰 폭으로 늘어났다고 한다. 우리의 경제규모가 커진데다 경기 회복이 이뤄진 덕분이라니 일단 반갑기는 하다. 그러나 지난 2003년 신용카드의 무리한 발급 경쟁이 빌미가 되어 우리 경제가 곤욕을 치른 기억도 여전히 생생하다. 신용사회로 간다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만, 자칫 과소비나 충동구매를 불러올까 걱정스럽다. 잘못된 사용으로 역효과를 불러 오는 것은 비단 '알라딘 램프'만은 아닐 것이다.
허영섭 경제칼럼니스트 모르는 소리
속초에 살고 있는 칠순 노인이 가벼운 심장병 증세가 있어 담당의사로부터 체중을 줄이라는 경고를 받았다. 그런데 이 할아버지는 바닷가 해수욕장 백사장에 하루 종일 앉아 있기만 했다. 하루는 어느 날과 마찬가지로 바닷가에 가만히 앉아 비키니 차림의 여자들을 정신없이 바라보고 있다가 친구와 마주했다. "자네가 운동을 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맞아." "그런데 왜 앉아 있어?" "모르는 소리 말아. 난 요놈의 구경을 하려고 매일 십리길을 걸어오는 거야."
유쾌한 웃음 백서(꿈과 희망) 영민한 시골 청년
시골 청년이 백화점에 판매원으로 취직하려고 했다. 사장은 "판매원 일을 해본 적이 있어?"라고 물었다. "판매원 일을 했습니다."라고 그는 대답했다. 사장은 청년에게 "내일부터 나와서 일하게"라고 했다. 사장이 나타나더니 "몇 사람에게 물건을 팔았나?"라고 물었다. "한 명이오."라고 청년은 대답했다. "겨우 한사람?"이라는 소리가 사장 입에서 튀어나왔다. "판매 금액은 얼만데?" "3834만원요." "아니 어떻게 해서?" 사장이 물었다. "남자 손님에게 작은 낚싯바늘 하나를 팔고는 중간치와 아주 큰 바늘도 팔았습니다. 다음으로 작은 낚싯줄과 중간치 줄, 그리고 엄청 큰 줄을 팔았습니다. 어디에서 낚시를 할 거냐고 물었더니 바다로 간다기에 반드시 보트가 필요할 것이라고 이야기해 보트 매장으로 데리고 가서 20피트짜리 스쿠너를 사게 했어요. 그랬더니 그의 소형 자동차로는 그걸 끌고 가지 못할 것이라기에 자동차 매장으로 데리고 가서 SUV를 구입한 겁니다. "사장은 "낚싯바늘 사러 온 사람에게 그 많은 물건을 팔았단 말인가?"라고 물었다. "아닙니다. 실은 그 사람이 부인의 생리대를 사러 왔던 건데, 제가 이번 주말은 글러버렸군요. 낚시나 가시지 그래요."라고 했던 겁니다."
영희의 굴욕
20대 시절 환생한 선녀라 불리며 날씬했던 몸매를 과시했던 영희. 10년이 지난 지금, 그녀 역시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잦은 야근과 폭식으로 인해 비만이 되어 버렸다. 그런 어느 날, 지하철을 타고 회사에 가고 있었는데... 노약자 석에 앉아 있던 한 할머니가 그녀의 얼굴과 배를 유심히 쳐다 보다가 하시는 말씀, "아니, 아이를 가진 여자가 이렇게 서 있으면 어떡해?" 당황되기도 하고 너무 창피하기도 한 그녀는 모기 소리만큼 작은 소리로 말했다. "아, 아니예요. 저 임신 안 했어요..." "무슨소리, 내가 척 보면 알아, 이 배는 쌍둥이 배여. 나도 쌍둥일 낳아봐서 알아." 순간 사람들의 시선이 몰렸고, 너무 창피한 나머지 영희는 그냥 앉아 버렸다. 이왕 이렇게 된 거 그냥 임신부가 되는 게 맘 편할 것 같았다. "그래, 아들이야 딸이야?" "아, 네... 안 가르쳐 주네요." 불편했던 시간도 어느덧 흘러 지하철은 회사 앞에 도착했다. 마지막으로 혼신의 연기력을 발휘해서 임신부인 척 배를 두 손으로 감싸 올리며 자리에서 일어나는데... 바로 건너편에 낯익은 얼굴들이 고개를 갸우뚱하며 쳐다보고 있었다. 허걱... 김 대리와 이 과장이었다. 재빨리 고개를 돌려 안 본 척 전동차 문을 나섰지만 나지막하게 들려오는 그녀들의 목소리... "아니, 자리에 앉으려고 임신부인 척하는 거 좀 봐." "막장이다. 막장." "혹, 진짜 임신한 거 아냐?" 영희는 그들의 입을 막기 위해 수백 썼다. 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