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출어람(靑出於藍)
뜻
푸른 물감은 쪽에서 나왔다. 쪽에서 나온 푸른 물감이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더 나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출전
「군자는 말한다. 학문이란 중지할 수 없는 것이다. 푸른색은 쪽에서 취한 것이지만 쪽보다 푸르고, 얼음은 물이 (얼어서)된
것이지만 물보다 차다. 나무가 곧은 것은 먹줄에 부합하기 때문이지만, 구부려 바퀴로 만들면 구부러진 형태가 곡척에 부합한다.
비록 볕에 말리더라도 다시 펴지지 않는 까닭은 구부려 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무는 먹줄을 받으면 곧게 되고,
쇠는 숫돌에 갈면 날카로워지는 것이다. 군자는 널리 배우고 날마다 거듭 스스로를 반성하여야 슬기는 밝아지고 행실은 허물이
없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높은 산에 올라가지 않으면 하늘이 높은 줄을 알지 못하고, 깊은 골짜기에 가 보지 않으면
땅이 두터운 줄을 알지 못하는 법이다. 선비는 선왕의 가르침을 공부하지 않으면 학문의 위대함을 알 수 없는 것이다.
(君子曰, 學不可以已. 靑取之於藍, 而靑於藍. 冰水爲之, 而寒於水. 木直中繩, 輮以爲輪, 其曲中規, 雖有槁暴, 不復挺者, 輮使之然也.
故木受繩則直, 金就礪則利. 君子博學而日參省乎己, 則智明而行無過矣. 故不登高山, 不知天之高也. 不臨深谿, 不知地之厚也.
不聞先王之遺言, 不知學問之大也.)」
이 말은 《순자(荀子) 〈권학(勸學)〉》에 나오는데, ‘푸른색은 쪽에서 취한 것이지만 쪽보다 푸르다.’는 말에서
‘청출어람청어람(靑出於藍靑於藍)’이 나왔고, 이것이 다시 ‘청출어람’이 되었다.
‘청출어람’에 대한 예는 다음의 전적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북위(北魏)의 이밀(李謐)은 어려서 공번(孔燔)을 스승으로 삼아 학문에 정진했다. 몇 년이 지나자 이밀의 학문이 스승을
능가하게 되었다. 그러자 공번은 이밀에게 더 이상 가르칠 것이 없다고 생각하고 도리어 그를 스승으로 삼기를 청했다. 그
러자 동문들이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
「푸른색은 쪽에서 만들어졌지만 쪽이 푸른색보다 못하다네. 어디 불변 고정의 스승이 있다던가. 경전을 밝히 아는 데 있는
것이지.(靑成藍, 藍謝靑, 師何常, 在明經.)」
이 이야기는 《북사(北史) 〈이밀전(李謐傳)〉》에 나오는데, 이는 ‘배우는 데는 일정한 스승이 없다.’는 뜻의 ‘학무상사
(學無常師)’라는 성어와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청출어람’은 다음의 전적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부(賦)는 고시(古詩)의 일종이다. 처음에 순경과 송옥에게서 창시되어 점차로 가의와 사마상여에게서 넓어졌다.
얼음이 물에서 나온 것처럼 처음에는 삼분오전(三墳五典, 최초의 전적)에 본을 두었고, 푸른색이 쪽에서 나왔듯이
풍(風)과 아(雅)보다 화려함을 더했다.(賦者, 古詩之流也. 始草創於筍宋, 漸恢張於賈馬. 氷生乎水, 初變本於典墳. 靑出於藍,
復增華於風雅.)」(백거이(白居易) 〈부부(賦賦)〉)
《삼분(三墳)》은 복희(伏羲), 신농(神農), 황제(黃帝)의 책으로, 실전되었다. 《오전(五典)》은 소호(少昊), 전욱(顓頊),
고신(高辛), 요(堯), 순(舜)의 책으로, 역시 실전되었다.
용례
제자가 된 자로서 ‘청출어람’하지 못하면 스승에 대한 제자의 예를 다하지 못한 것이다. 백과사전
'名言 四字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자만복(棘刺滿腹)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0) | 2016.06.09 |
---|---|
축장요곡(築墻繞曲) (0) | 2016.05.11 |
도광양회(韜光養晦), 대국굴기(大國堀起) (0) | 2016.01.10 |
맹자(孟子)의 인성론 (0) | 2015.11.23 |
井蛙不知海 夏蟲不知氷 (정와부지해, 하충부지빙) (0) | 201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