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日뉴스 時事

국회법 개정안 - 여권 재정비 겨냥한 대통령의 초강수… 안될 땐 脫黨도 염두 둔듯

yellowday 2015. 6. 26. 06:59

입력 : 2015.06.26 03:00 | 수정 : 2015.06.26 03:23

-"새로운 정치인 선택해 달라"
16分 중 12분 정치권 비판… 對국민 직접 정치 시사

-"정치적·도덕적 공허감만"
배신의 정치·구태·심판… 강도 높은 단어들 사용
목소리 톤 평소의 두배

-친박, 유승민 유임되자
"黨이 심각성 너무 몰라" 黨·靑 갈등 더 번질 수도


	25일 열린 새누리당 긴급의원총회에서 김무성 대표가 눈을 감은 채 생각에 잠겨 있다.
25일 열린 새누리당 긴급의원총회에서 김무성 대표가 눈을 감은 채 생각에 잠겨 있다. /전기병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고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를 요구하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이날 의원총회를 열어 '거부권' 부분만 수용하고, 유 원내대표는 유임시키기로 했다. 여당 의원들이 대통령의 주문에 대해 반은 들어주고 반은 안 들어준 셈이다. 이 때문에 친박계를 중심으로 "당·청(黨靑) 간 갈등이 수습은커녕 더 번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정치권 일각에선 박 대통령 탈당(脫黨) 가능성까지 거론됐다.

박 대통령은 이날 16분간의 국무회의 모두(冒頭)발언 가운데 12분을 정치권 비판으로 채웠다. 원고지 30매 분량이었다.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여야 행태를 비난하는 대목부터는 목소리 톤이 평소보다 두 배 이상 높아졌다. '저의(底意)' '배신의 정치' '심판' '도덕적 공허감' 등 단어들까지 등장했다. 여야를 함께 비난한 내용이 많았지만, 여당만 지목한 부분도 있었다. "여당의 원내사령탑도 정부·여당의 경제살리기에 어떤 국회의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여권에선 이 말이 유 원내대표에게 사퇴를 요구한 것이라는 데 대해 별 이견이 없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신뢰를 보내준 국민들에게 정치적 신의는 지켜지지 않았고 저도 당선의 기회를 달라고 당과 후보를 지원하고 다녔지만 돌아온 것은 정치적·도덕적 공허함만 남았다"고도 했다. 여당 의원들을 '정치적·도덕적 신의가 없는 사람들'이라고 한 셈이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다시 한 번 대통령을 중심으로 여권의 대오(隊伍)를 재정비하자는 뜻 정도로 해석해 달라"고 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선 다른 의미가 담겨 있을 수 있다고도 봤다. 우선 상당수 의원은 "탈당(脫黨)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했다. 박 대통령이 정치 인생 내내 앞세웠던 게 신뢰이고, 제일 싫어하는 말이 배신(背信)이다. 그런데 국무회의 석상에서 여당 일부를 '신의 없는 사람들'이라고 했는데 계속 같이 갈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향후에도 여당이 자신과 다른 길을 계속 가려 한다면 박 대통령이 당을 떠나 국민을 직접 상대하는 정치로 임기를 마치려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이 의원총회에서 유 원내대표 유임을 결정하고 다시 맞선 것에 대해, 박 대통령 측근 의원들은 "우리 당 의원들이 심각성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는 말도 했다.

이와 함께 일부 여야 의원들은 "신당(新黨)을 만들려는 것" "정계 재편까지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분석도 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현 정치권을 "정치를 정쟁으로만 접근하고 국민의 삶을 볼모로 이익을 챙기려는 구태정치"로 규정했다. 그리고 그 해결책으로 "국민을 중심에 두는 새로운 정치를 하는 정치인들만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국민들이 선거에서 잘 선택해 달라"고 했다.

이를 놓고 정치권 일각에선 "결국 내년 선거(총선)를 통해 새 사람들로 정치판을 채워야 한다는 말 아니냐"며 "박 대통령은 자신의 지지 기반을 활용해 신당(新黨)을 만들 수 있는 정치적 힘도 갖고 있는 거의 유일한 정치인"이라고 했다.

이 같은 해석들에 대해 대통령 핵심 참모는 "신당이나 정계 재편까지는 너무 나간 얘기다. 그건 아닌 것 같다"고 했다. 그러나 당적(黨籍)을 떠날 가능성에 대해선 "거기까진 안 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상황에 따라선 '그렇게 할 수도 있다'는 얘기로 해석됐다. 유 원내대표 거취와 관련해, 유임시킨 여당 의원들과 사퇴를 원했던 박 대통령 중 어느 쪽도 물러서지 않는다면 당·청 갈등이 어디까지 번질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조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