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발 (鄭撥)
1553년 ~ 1592년 4월 13일
정발 장군 영정
태어난 곳
조선 경기도 연천군 마전면 광동리 너븐골
죽은 곳
조선 경상남도 동래부 동래성
별명
자는 자고(子固) 또는 자주(子周), 호는 백운(白雲), 시호는 충장(忠壯), 별칭은 흑의장군
복무
조선 육군
복무 기간
1579년 ~ 1592년 4월 13일
최종 계급
부산진첨절제사(정3품)
지휘
부산진병영
주요 참전
부산진 전투
기타 이력
1579년(선조 12년) 무과 급제
정발(鄭撥, 1553년 ~ 1592년 4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임진왜란 당시의 장군이었다.
1579년(선조 12년) 무과에 급제해 해남현감, 거제현령, 북정원수 종사관, 거제현령, 비변사낭관, 위원군수, 훈련원첨정,
사복시첨정 등을 지내고 벼슬이 절충장군 부산진첨절제사에 이르렀다.
1592년(선조 25년) 4월 사냥 중 일본군의 침략 소식을 접하고 임진왜란 초기에 벌어진 부산진 전투에서 분전하던 중 왜군의
총에 맞고 포로로 잡혔다가 살해되었다. 사후 증 병조판서에 증직되고 불천위(不遷位)에 지정되었으며 뒤에 의정부좌찬성겸
의금부판사에 추증되었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字)는 자고(子固) 또는 자주(子周), 호는 백운(白雲),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별칭은 흑의장군이다. 경기도 출신.
백운 정발은 1553년(명종 8년)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광동리 너븐골에서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정세현
(鄭世賢),양조부는 군수(郡守) 정세호(鄭世豪)이고, 군수를 지낸 아버지 정명선(鄭明善)과 어머니 남궁씨(南宮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선조는 고려왕조 때 군기감윤(軍器監尹)을 지낸 정진후(鄭珍厚)의 후손으로 그 뒤 고려말, 조선초 태조 이성계의 인척이기도
한 정희계(鄭熙啓)가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와 좌의정을 지내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을 지냈다.
정희계는 그의 6대조이다. 고조부 정지례(鄭之禮)는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지냈으며, 증조부 정수덕의 묘를 연천에 쓰게
되면서 연천에 정착하였다. 정수덕의 아들은 군수 정세호(鄭世豪)와 돈녕부도정을 지낸 정세현(鄭世賢)이 있었다.
아버지 정명선은 원래 정세현의 아들이었는데 후사가 없는 큰아버지 정세호의 양자가 되었다. 아버지 명선은 간성군수(干城郡守)
를 지냈고, 어머니 남궁씨는 관찰사(觀察使) 남궁숙(南宮淑)의 딸이다.
정발은 어릴 때부터 독서를 즐겨 했고, 과묵하여 선비의 풍모가 완연하였다. 특히 소학(小學)에서 얻은 바가 많고,
자라면서 그 형과 같이 독행인(篤行人)으로 뽑혔다 하니 그 행실이 얼마나 돈독하였는가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약관(弱冠)에 이미 사서(四書)와 오경(五經)을 통독하였으며, 아울러 손오병법(孫吳兵法)에도 통달하였다.[1]
사후
사후 1615년(광해군 7년) 이순신, 원균, 이억기와 함께 충신 대열에 들어 충신록에 수록되었다.
정발의 용전사실은 왜란이 끝난후 통신사(通信使:조선시대에 일본으로 보내던 사신)로 일본에 갔던 황 신(黃愼)이 왜군
평조신(平調信)으로부터 무용(武勇:싸움에서 용맹스러움.무예와 용맹)을 극찬하는 회고담을 듣고 돌아와 조정에 알려져
뒤늦게[6] 증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증직되었다가 뒤에 다시 1681년(숙종 7년) 증직된 관작이 낮다는 동래 부사(東萊府使)
조세환(趙世煥)의 상소로 증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겸 판의금부사에 추증되었고 동래의 안락서원(安樂書院)에 배향되었다.
1686년(숙종 12년) 충장의 시호가 내려졌다.
비문은 숙종 때 송시열이 지었으나 유실되었고, 1982년에 후손들이 다시 비를 세웠다.
1683년(숙종 9) 미산면 백석리 묘소로 가는 길 입구에 정려문이 세워지기도 하였으나 한국전쟁 때 화재로 전소되었다.
1722년(경종 3년) 그의 4대손 정인중(鄭麟重)이 임인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당했다. 그 뒤 영조 즉위 후
1744년(영조 20년) 경기도 암행어사 임상원(林象元)이 그의 첩의 순절 사실을 조정에 보고하여 정표가 내려졌다. 위키
* 정발장군 동상은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부산역 부근)에 있습니다.
'韓國史 알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역대 왕비 (0) | 2014.05.26 |
---|---|
조선 왕 가계도 (0) | 2014.05.26 |
송상현(宋象賢, 1551년 ~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 (0) | 2014.05.25 |
인목대비 폐비 사건 (0) | 2014.05.25 |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 1632년) (0) | 2014.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