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렌타인 데이의 기원은 모리나가 제과 이야기가 아닙니다.
발렌타인 데이의 기원은
서기 269년, '로마'의 '클로디우스' 황제는 금혼령을 내렸다
황제는 남자가 결혼하면 집을 떠나 전쟁에 나가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형편없는 군인이 된다고 생각했으며,
제국에는 군인들이 필요했고, 사람들의 평판같은 것은 아랑곳하지 않던
'클로디우스' 황제는 결혼제도를 폐지해 버렸던 것이다
그러나 '인테람나'의 주교였던 '발렌티노'신부는 젊은 연인들을
몰래 찾아오게 해서 결혼식을 올려 주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황제는 진노해 연인들의 친구인 주교 '발렌티노'를
궁궐로 불러들였다
그런데 황제는 젊은 주교의 위엄과 확신에 감명을 받아
'로마신'을 믿도록 개종시켜 처형당하는 불행으로부터 구해주려고 했지만
'발렌티노'신부는 천주교를 포기하기를 거부했으며
오히려 섣불리 왕을 개종시키려 했다
269년 2월 14일 '발렌티노' 신부는 곤봉으로 두들겨 맞고
돌팔매를 당한후 효수되었다
성인 '발렌티노'의 축일을 연인들이 기념하게 된 것은 14세기부터이며
연인들이 이날 서로 주고 받는 축하 카드로 성행하였다
남성의 여성에 대한 기사도적 사랑의 표현에서 나타난 것으로 본다
즉 이 전통에 따르면 매년 2월 14일이 되면 젊은 여인들이
'발렌틴(Valentin)', 이른바 자신들을 흠모하여 시중을 드는 기사를
선택하고 이 기사들은 젊은 여인들에게 선물을 바쳤다고 하며
이러한 관습은 아직도 영국의 몇몇 지역에서 존속하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나라에서 기념하는 "발렌타인 데이'의
의미와 형태는 상인들이 상업적(초코렛 장사)으로 변형시킨 것으로
본래의 의미를 상실한 것이다
"발렌타인 데이" 2월14일은
"발렌티노 성인(聖人)"의 축일(祝日)임을 기억해 주셨으면 한다
(발렌티노, 발렌띠누스, 발렌타인, 발렌티누스는 같은 이름임)
화이트데이의 유래
화이트 데이는 3월 14일로
발렌타인 데이 덕분이 초콜릿이 많이 팔려 이득이 생기자
덜 팔린 사탕이 소비되도록 촉진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합니다.
3월 14일이 기념일 아닌 기념일로 된 것은
일본의 유명 제과회사인 모리나가 제과의 농간으로
성 발렌타인 축일에 초콜렛을 선물하는 관행을 정착시킨 것 또한
모리나가 제과의 농간입니다. 동 회사는 한국에 오리온 밀크캐러멜에 기술을 제공한 회사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발렌타인 데이에 여자가 남자에게 초콜렛을 선물하는 관행이 처음 생긴 것이 1958년입니다.
이때만 해도 일본에서는 여자가 남자에게 사랑 고백을 쉽게 못하는 분위기였으나 모리나가 제과에서
'이날 하루라도 여자가 남자에게 자유로이 사랑을 고백하게 하자'는 캠페인을 내놓은 것입니다.
거기에다 교묘하게 '초콜렛을 선물하면서 고백하라'는 말을 끼워 넣어서 초콜렛 장사를 한 것입니다.
이런 캠페인이 있다 해도 당장 여자가 남자에게 사랑 고백을 하기 어려운 분위기는 쉽게
바뀌지 않아서, 처음에는 인기를 못 끌다가 1970년대 들어와서야 발렌타인 데이에 초콜렛을
선물하는 관행이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 무렵에, 초콜렛 장사로 큰 소득을 올린 모리나가 제과에서 비인기 품목에 속하던
마시맬로우(marshmallow : 초코파이 속에 들어 있는 크림을 단단하게 굳힌 거라고 보면 됩니다)
를 팔려는 계획으로 "2월 14일에 초콜렛으로 받은 사랑을 3월 14일에 마시맬로우로 보답하라"는
내용의 광고를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최초의 이름은 '마시맬로우 데이'였는데 '화이트 데이'로 이름이 바뀌어서 지금에
이른 것이며 '화이트'라는 말은 마시맬로우가 흰색이라서 붙은 말입니다.
한 마디로 '족보도 없는, 기념일 아닌 기념일'입니다.
퍼온 글
'쉬어가는 亭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이 운영하는 '아시아식 마사지숍'… 미국은 골머리 앓아 (0) | 2014.03.14 |
---|---|
린제이로한, 성관계 리스트 공개 20살 넘게 차이 나는 톱 액션 배우도 포함…누구? (0) | 2014.03.14 |
속옷만 입은 미녀 종업원들이 음식 서빙 '헉~' (0) | 2014.03.14 |
한국서 쓰면 '절대 안되는' 영어단어 두가지 - jot down과 care for a sip (0) | 2014.03.07 |
中 92세 가정부, 주인집에서 안락한 노후…3대 잘 돌본 공로 인정 (0) | 201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