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日報 萬物相

나가사키 조선소

yellowday 2013. 9. 22. 03:39

입력 : 2013.09.22 03:13

"1945년 8월 1일. 오늘 폭격은 유달리 심했다. 조선소와 식당이 폭격당했다. 나는 시체 발굴 작업에 동원됐음." 일제강점기 말 45년 1월 강제징용돼 나가사키 조선소에 끌려간 김순길씨가 남긴 일기다. 스물두 살 부산 사람 김순길은 주먹밥 하나로 끼니를 때우며 노예처럼 일했다. 8월 9일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떨어졌지만 그는 다행히 살아남았다. 그는 일기에서 "악마 나가사키로부터 귀국길에 오른 것은 8월 12일 오후 8시"라고 치를 떨었다.

 

▶일제 말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군함을 만든 조선인이 4700여명이었다. 그중 1600여명이 원폭에 목숨을 잃었다. 나가사키에서 남서쪽으로 18㎞ 떨어진 외딴섬 하시마에도 강제징용된 조선인의 한(恨)이 서려 있다. 조선인들은 섭씨 40도까지 치솟는 해저 탄광 갱도에서 하루 12시간씩 일했다. 122명이 질식하거나 사고로 숨졌다지만 일본인 감독관에게 맞아 죽거나 탈출하다 익사한 경우도 있다.


	만물상 일러스트

▶일본 정부는 2009년 '규슈·야마구치 산업유산군(遺産群)'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시키려고 추진해 왔다. 나가사키 조선소와 하시마 탄광을 비롯해 28개 산업 시설과 유적을 모은 곳이다. 아베 정부가 지난 17일 이 지역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추천하겠다고 밝혔다. 스가 관방장관은 "일본이 '모노즈쿠리' 대국의 기초를 다진 역사를 이곳이 보여준다"고 했다. 모노즈쿠리는 '장인 정신이 깃든 일본 제조업'을 가리킨다.

▶요즘 일본에선 TV 드라마 '한자와 나오키(半澤直樹)'가 시청률 30%를 넘기며 인기를 누린다. '제조업 대국' 일본의 부활을 바라는 민심을 잘 반영한 덕분이다. 주인공 은행원이 아버지가 개발한 신소재 나사를 만지작거리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대출을 담당하는 주인공은 손재주를 살려 물건을 만드는 중소기업엔 서슴없이 돈을 빌려준다. 아베 총리는 그런 민심을 잘 안다. 제조업 대국의 역사를 세계문화유산에 올려 일본인의 자부심을 되살리려 한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제조업 대국의 역사'를 말할 때 강제징용된 한국인의 피눈물은 늘 모른척해 왔다. 우리 정부는 "강제징용으로 끌려간 우리 국민의 아픔이 서린 곳이어서 보편적 가치가 있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적절치 않다"며 반대하고 있다. 유네스코가 2년 뒤 등재 여부를 결정하기 전까지 우리 입장을 꾸준히 전할 수밖에 없다. 이웃의 피눈물이 담긴 일본의 유산 앞에 '세계'를 붙이는 건 얼토당토 않은 일이라고 말이다.   조닷

'朝日報 萬物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분(秋分)  (0) 2013.09.24
명동 중국 대사관  (0) 2013.09.23
'헌책방 보물찾기'  (0) 2013.09.18
중국의 蔣介石 재평가  (0) 2013.09.17
평양에 울려 퍼진 애국가  (0) 2013.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