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정계비 설치의 진실
백두산은 우리나라 조산(祖山)이었으므로 영산(靈山)으로 신성하게 여겼는데, 17세기 청나라가 만주에서 건국하면서 그들 역시 백두산을 장백산이라고 부르며 건국의 발상지로 여겼기 때문에 양국 사이에 종종 국경 분쟁이 발생하였고 외교 문제로 비화되어 조선과 청나라는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청나라는 서양 선교사 레지 신부등을 백두산 부근에 파견하여 측량하고자 하였으나 교통이 막혀 실천하지 못하였다. 1712년(숙종38)에 청나라는 목극등을 파견하여 국경회담을 제의하였다. 숙종은 박권을 대표로 임명하면서 "강역(疆域)은 지극히 중요하니 반드시 힘써 다투라."라고 단단히 당부아였다. 청의 대표인 목극등은 오만하고 강압적인 방법으로 우리측 대표를 압박하였다. 목극등은 백두산 정상 부근인 해산에 도달했을 때 우리 측 대표인 접반사 박권과 함경도 감찰사 이선부에게 말하기를 "두 사람은 노대신이고 항상 말을 타고 다녔기 때문에 백두산 꼭대기에는 걸어서 올라가야 하는데 갈 수가 없으니 해산에 머물러 있으라."고 하였다. 조선 측 대표는 "우리도 왕명을 받고 온 몸이므로 두 사람 중에 한 사람만이라도 백두산에 올라가겠다"고 하였으나 목극등은 단호히 거절하고 우리나라의 통역관과 군관만 데리고 백두산에 올랐다. 일행이 백두산 마루에 올랐을 때 목극등은 "이 물이 하나는 동쪽으로 하나는 서쪽으로 흘러서 나뉘어 두 강이 되었으니 분수령이다."고 말하며 정계비를 세웠는데, 그 내용은 "서쪽은 압록강이요.동쪽은 토문강이다.그러므로 분수령에서 돌을 새겨 기록하노라."고 적어 놓았다. 여기서 서쪽 압록강은 조.청간에 아무런 이의가 없었지만 동쪽은 토문강으로 한다는 규정에 대하여 해석이 엇갈리게 된다. 조선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토문강을 경계로 알았으며 청나라는 토문강은 두만강이라고 우기게 된다. 이는 19세기 간도, 영유권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백두산 천지는 정계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통역관인 김지남의 훌륭한 역할로 조선 땅으로 확보아였다.
이상태의 역사속의 지명 유래
이럴 때 난감했다.2
1. 엘리베이터에서 내려 집 문을 열려고 하는데 엘리베이터에 같이 탔던 사람이 내리며 "거기 우리집인데요"할 때 2.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선생님 몰래 졸고 있는데 몸에 경련이 일어나 '우당탕'하는 바람에 선생님께 들킬 때 3. 백화점내 수영복 매장이 모여 있는 층에서 한 바퀴 돌며 열심히 이 옷 저 옷 보고 있는데 점원이 오늘 두 번째 본다며 그만 오라는 표정으로 씨익~ 미소를 띨 때 4. 길 가다가 누가 불러서 돌아 봤는데 뒤에서 어떤 사람이 통화하고 있는 거였을 때
임산부의 변신
첫 번째 아기 때 ;의사가 임신이라고 확인해 주는 그 순간부터 임산부용 옷을 입기 시작한다. 두 번째 아기 때 ;가능한 한 오랫동안 평상복을 입고 지낸다. 세 번째 아기 때 ;임산부용 옷이 곧 평상복이다.
동네 사람들이 더 잘 알아
"이봐, 자네 부인이랑 1주일에 몇번 정도 잠자리를 같이하나?" "나한테 물어보지 말고 우리 동네 사람들한테 물어보게. 그 사람들은 우리 집에서 일어나는 일은 뭐든지 알고 있으니까." "오, 그래? 어떻게?" "마누라가 죄다 얘기하고 다니거든."
아들 자랑
이웃에 사는 아줌마 둘이 서로 아들 자랑을 늘어 놓았다. 아줌마1; 우리 애는 참 착해요. 반찬 투정도 안하고 용돈도 달라고 하지도 않고..., 아줌마2; 우리 애는요, 반항도 않고 싸우지도 않고 밖에 가서 늦게 들어오지도 않고..., 아줌마1; 애가 몇살이죠? 아줌마2;아, 갓 돌 지났어요. 그쪽은요? 아줌마1; 우리 애는 100일 밖에 안됐어요.
가짜 고릴라
동물원에 있던 고릴라가 죽자, 동물원 관계자들이 급한대로 사람을 구해 고릴라로 변장 시킨 뒤 관람객들에게 보여 주었다. 그런데 이 가짜 고릴라가 아침에 출근해서 실수로 고릴라 우리 대신 곰 우리로 들어가고 말았다. 곰이 자기한테 다가오자 빠져 나가기는 너무 늦었다고 생각한 가짜 고릴라는 그 자리엣 엎드려 죽은 척하였다. 그러자 곰이 다가와서 가짜 고릴라 귀에 대고 말했다. "저, 고릴라는 한 달에 얼마 받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