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의 人物

동중서(董仲舒, 기원전 176년?~기원전 104년)

yellowday 2011. 5. 10. 21:47

동중서(董仲舒, 기원전 176년?~기원전 104년)는

중국 전한 중기의 대표적 유학자이다. 현재의 허베이 성에 속하는 신도국(信都國) 광천현(廣川縣)출신이다. 한나라 초기의 사상계가

제자백가의 설로 혼란하고 유교가 쇠퇴하였을 때, 도가의 설을 물리치고 유교 독립의 터전을 굳혔다. 무제(武帝)를 섬겨 총애를 받아

유교를 채용하고 교육 행정으로 공헌하였다. 이로써 뒷날 중국의 정신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동중서

젊어서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을 배우고 경제(景帝) 때 박사(博士)가 되었다. 무제는 즉위하면서 전국에서 현량(賢良)과 문학의 선비를 불러서 시무를 논하였는데 동중서도 현량의 자격으로 의견을 진술하였다. 그는 그때 성인(聖人)은 천명(天命)을 받아서 정치를 행하는 자로 교화(敎化)에 의하여 백성의 본성(本性)을 갖게 하고, 제도에 의하여 백성의 정욕을 절제케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교화에 있어서는 유학만을 정통적 학문으로 정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 주장으로 한나라의 정부는 법가종횡가의 말을 물리쳐 채택하지 않고 오경박사를 설치하는 등 유학의 정신이 정책에 반영하게 되었다. 그는 무제에 대한 상주 후에 강도왕(江都王)의 상(相) 대신으로 전출되었는데 《춘추(春秋)》의 재이(災異)의 기사를 응용하여 비를 오게도 하고 그치게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요동의 고조묘(高祖廟)의 화재 등에 대한 말 때문에 일단 사형까지 선고받았으나, 조칙에 의하여 용서되고 이후는 재이의 일을 입에 올리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승상(丞相) 공손홍(公孫弘)은 같이 《춘추》를 익히고 있었으나 학력이 동중서에 미치지 못함을 시기하여 다시 그를 교만하기로 이름나 있는 교서왕(膠西王)의 국상(國相)으로 전출시켰다. 그는 얼마 후에 신병을 이유로 사임하고 이후 집에 거처하면서 저술과 교수에 전념하였다. 그러나 조정에서는 처리하기 어려운 사건이 일어나면, 정위(廷尉:사법장관)인 장탕(張湯)이 직접 그의 집에 찾아가 해결 방법을 물었다고 한다. 잔혹한 법률의 집행으로 유명한 장탕과 순수한 유학자인 동중서와의 결부는 일견 기묘하지만, 한대의 정치는 그와 같이 유학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행해졌던 것이다.

저서《춘추번로》

《춘추번로(春秋繁露)》는 동중서의 저작이다. 춘추시대의 노국의 연대기 《춘추》의 기술 속에 공자가 은연중 불어 넣은 역사 비판의 정신을 밝히려 하는 것이 공양학(公羊學)인데, 《춘추공양전》이 그 근거가 된다. 《춘추번로》는 《공양전》에 기준하였고, 때로는 그것을 넘어서 동중서가 그 당시 한 왕조의 정치체제에 철학적 근거를 확립하려 했던 책이다. 번로(繁露)라는 명칭은 《한서》 〈동중서전(董仲舒傳)〉에 그 저서의 1편의 이름으로서만 게재되어 있다. 또 같은 책 〈예문지(藝文志)〉에도 그의 저서로서는,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공양동중서치옥십륙편(公羊董仲舒治獄十六篇)》, 《춘추결옥이백삼십사(春秋決獄二百三十事)》만이 게재되어 있을 뿐이다. 그런 점에서 현재의 《춘추번로》 17권 82편(그 중 3편은 없음)은 전부가 동중서의 것은 아닐 것이라고 의심하는 설도 있다.

《춘추번로》에 보이는 동중서의 특징적인 이론은 다음과 같다.

  1. 현(賢)과 불초(不肖), 덕(德)과 형(刑), 경(經)과 권(權) 등의 가치의 상하를 절대화하는데, 양(陽)은 귀하고 음(陰)은 천하다고 하는 음양설(陰陽說)을 강조한다.
  2. 왕의 독존성을 논술할 경우에 천(天)·지(地)·인(人)의 3(三)을 '一', 즉 도(道)로 관통한 것이라고 하는 것 따위의 억지 문자학을 사용하였다. 또 왕은 황(皇)·방(方)·광(匡)·황(黃)·왕(往)과 통하여 천하가 귀왕(歸往)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것은 후한의 문자학자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도 채용되어 있다.
  3. 《춘추》의 권위를 숭상하여 춘추는 바로 공자가 한 왕조를 위하여 미리 법을 제정해 준 ‘대의미언(大義微言)’이라 주장한다. 이 점이 후한의 공양학자(公羊學者) 하휴(何休)에 의하여 삼세이사설·이내외설(異內外說) 등으로 정비되면서 공양학은 더욱 발전되어 간다.
  4. 백·적·흑의 삼통순환설(三統循環說)에 의하여 왕조의 혁명과, 그것에 수반하는 역법(曆法)과 복색(服色)의 개정을 합리화한다. 그러나 일면 5행설(五行說)에 기본하여 ‘토(土)’를 5행의 중추로 삼고 한 왕조를 그것에 해당시키고 있다.
  5. 천자를 정점으로 하는 3공(三公)·9경(九卿)·27대부(二十七大夫)·81사(八十一士)를 ‘천지수(天之數)’에 합치한다고 하는 천인상응설(天人相應說)과, 천(天)의 견책(譴責)은 우선 ‘재(災)’로 나타나고, 이어 하늘의 ‘이(異)’가 내린다고 하는 재이설(災異說) 등으로 천위(天威)를 강조한다. 동중서, 하휴 등이 전개한 한대의 공양학은 그후 크게 떨치지 못하였으나, 19세기 청조 후기의 중국의 위기에 즈음하여 부활되었고, 《춘추번로》의 주석도 수종류 나왔다. 그 중에서 소여(蘇輿)의 《춘추번로의증(春秋繁露義證)》은 공양가(公羊家)에 편벽되지 않은 입장에서 쓰였다. 
                                          출처:구글   yellowday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