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6.08.24 00:33
[49] 화천 파로호와 비수구미 여자 김영순의 삶
일제가 건설한 호수 대붕호, 6·25 전쟁 때 중공군 섬멸해 파로호로 명명
장윤일·김영순 부부는 그 호숫가 마을에서 고단한 삶을 살았다
해방이 찾아오고 전쟁이 끝났다
호수에 낭만이 찾아왔다
![박종인 여행문화 전문기자](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608/24/2016082400056_0.jpg)
파로호 호숫가 삶은 모질었다. 화전민 부부 장윤일과 김영순도 모질게 살았다. 칠십이년째 장윤일은 생각 중이다.
왜 나는 고단하게 살고 있을까. 뱀도 잡아봤고 송이를 캐고 낚시꾼들 수발 들며 네 아들딸 휼륭하게 키워냈지만,
부부는 다람쥐 꼬리만 한 비수구미 계곡을 벗어나지 못했다.
장윤일과 김영순은 파로호변 숨은 곳,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동촌 비수구미에 산다.
미륵바위와 461번 지방도
화천읍 대이리 북한강변에는 바위가 다섯 개 있다. 구만교에서 읍내로 가는 길목에 있다. 어찌 된 것이 볼품없는 그렇고 그런 바위들에게 사람들은 미륵이라 이름하고 제사를 지낸다. 미륵은 미래불이다. 사람들은 미래를 관장하는 이 영험한 바위에 기도를 하며 징글맞은 현실을 잊는다. 미륵바위가 서 있는 이 도로 이름은 461번 지방도다.
파로호 이야기
깨뜨릴 파(破)에 오랑캐 로(虜), 호수 호(湖)이니, 파로호는 '오랑캐를 깨부순 호수'라는 뜻이다. 6·25 전쟁 때 국군과 유엔군이 중공군을 이곳 파로호에서 궤멸(潰滅)시켰다. 1951년 5월 경기도 양평 용문산 전투에서 화천까지 패퇴한 중공군은 철원으로 퇴각 중이었다. 중국 측 자료에 따르면 중공군은 '사상자 10만명, 포로 1만명을 기록한 미증유의 참패'를 당했다.
미륵바위와 461번 지방도
화천읍 대이리 북한강변에는 바위가 다섯 개 있다. 구만교에서 읍내로 가는 길목에 있다. 어찌 된 것이 볼품없는 그렇고 그런 바위들에게 사람들은 미륵이라 이름하고 제사를 지낸다. 미륵은 미래불이다. 사람들은 미래를 관장하는 이 영험한 바위에 기도를 하며 징글맞은 현실을 잊는다. 미륵바위가 서 있는 이 도로 이름은 461번 지방도다.
파로호 이야기
깨뜨릴 파(破)에 오랑캐 로(虜), 호수 호(湖)이니, 파로호는 '오랑캐를 깨부순 호수'라는 뜻이다. 6·25 전쟁 때 국군과 유엔군이 중공군을 이곳 파로호에서 궤멸(潰滅)시켰다. 1951년 5월 경기도 양평 용문산 전투에서 화천까지 패퇴한 중공군은 철원으로 퇴각 중이었다. 중국 측 자료에 따르면 중공군은 '사상자 10만명, 포로 1만명을 기록한 미증유의 참패'를 당했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608/24/2016082400056_1.jpg)
그 퇴각로가 461번 도로였다. 퇴각로가 막힌 중공군 병사들은 호수를 헤엄쳐 건너다 익사했다. 국군 1개 소대가 중공군 1개 대대를 생포했다는 기록도 있다. 도로는 물론 주변 능선과 계곡에는 중공군 시체가 산처럼 쌓였다. 작전 차량들은 중장비로 시체들을 길섶으로 치우며 전진했다.
1955년 11월 18일 대통령 이승만이 이곳 육군 6사단을 방문했다. 대한뉴스는 "대통령 각하께서 파로호라고 명명하신 화천 저수지의 명명 기념비 제막식이 11월 18일 현지에서 거행되었다"고 보도했다. '파로호비'는 지금 안보전시관 위쪽 숲 속에서 파로호를 내려다본다.
1955년 11월 18일 대통령 이승만이 이곳 육군 6사단을 방문했다. 대한뉴스는 "대통령 각하께서 파로호라고 명명하신 화천 저수지의 명명 기념비 제막식이 11월 18일 현지에서 거행되었다"고 보도했다. '파로호비'는 지금 안보전시관 위쪽 숲 속에서 파로호를 내려다본다.
![이승만 대통령 친필을 새긴‘파로호비’.](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608/24/2016082400056_2.jpg)
파로호는 1944년 일본 총독부가 수도권 군수공장 전력 공급용 발전소를 만들며 생긴 인공호수다. 원래는 파로호가 아니었다. 대붕(大鵬) 호였다. 이후 7년 만인 1951년 호수 이름은 파로호로 바뀌었다. 대붕호라는 이름은 금세 잊혔다.
1987년 4월 호수 북쪽에 평화의 댐 건설이 시작됐다. 호수 물이 빠졌다. 화천댐 옆에서 비석 하나가 발견됐다. 이렇게 적혀 있었다. '大明鳥堤 昭和 十九年 十月 竣工(대명제 소화 십구년 시월 준공)'. 대붕이 사는 호수가 아니라 듣도 보도 못한 초명새가 사는 뚝방이라고? 간악한 일제 꼼수에 화천이 발칵 뒤집혔다. 과연 그럴까. 초명새(明鳥)는 남쪽 세계에 사는 전설 속 새다. 물에 감응하는(至水之感) 신조(神鳥)다. 봉황보다 초명새가 호수 이름에 더 어울리고 '간악' '꼼수' '만행' 같은 단어는 어울리지 않는 작법이다.
장윤일과 김영순
원주 사람 장윤일은 나이 스물에 화천 비수구미로 흘러들었다. 화전(火田)으로 먹고살리라 호수로 숨어들었다. 일찌감치 춘천에서 들어온 윗집 처녀 김영순을 만나 혼인을 했다. 김영순은 열일곱이었고 장윤일은 스물셋이었다. 1965년 4월 7일이었다.
1987년 4월 호수 북쪽에 평화의 댐 건설이 시작됐다. 호수 물이 빠졌다. 화천댐 옆에서 비석 하나가 발견됐다. 이렇게 적혀 있었다. '大明鳥堤 昭和 十九年 十月 竣工(대명제 소화 십구년 시월 준공)'. 대붕이 사는 호수가 아니라 듣도 보도 못한 초명새가 사는 뚝방이라고? 간악한 일제 꼼수에 화천이 발칵 뒤집혔다. 과연 그럴까. 초명새(明鳥)는 남쪽 세계에 사는 전설 속 새다. 물에 감응하는(至水之感) 신조(神鳥)다. 봉황보다 초명새가 호수 이름에 더 어울리고 '간악' '꼼수' '만행' 같은 단어는 어울리지 않는 작법이다.
장윤일과 김영순
원주 사람 장윤일은 나이 스물에 화천 비수구미로 흘러들었다. 화전(火田)으로 먹고살리라 호수로 숨어들었다. 일찌감치 춘천에서 들어온 윗집 처녀 김영순을 만나 혼인을 했다. 김영순은 열일곱이었고 장윤일은 스물셋이었다. 1965년 4월 7일이었다.
![김영순, 장윤일 부부와 맏아들 장복동. 오른쪽은 2013년 5월 결혼 48년만에 찍은 웨딩사진.](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608/24/2016082400056_3.jpg)
일곱 남매 장녀 김영순이 말했다. "마을 사람들이 하도 착하다고 해서 결혼했다. 밥 하나 안 시킨다더니 밥 안 시키긴, 다 시켰어, 다. 이 사람이 거짓말을 그렇게 잘해." 남자가 말했다. "… 그러지 않으면 여자들이 안 오거든. 누구나 다 그런 거야." 김영순이 말을 잇는다. "뭐? 밭 양쪽에 내 사진 걸어놓고 김 한 번 맬 때마다 내 사진 보면서 살겠다고? 얼마나 근사해? 그 말에 속아서 내 나이 열일곱에 이 남자랑 결혼했다. 어이구, 사진 한 장 찍지도 못하고 살았네."그 삶은 이러했다.
혼례 열흘 만에 남편 장윤일이 입대했다. 제대를 한 달 남기고 맏아들 복동이 태어났다. 돌아온 남편은 단양 탄광촌 잡부로 떠났다. 온통 새까만 세상에 질려, 아들을 둘러업고 따라간 아내는 40일 만에 남편을 끌어내 비수구미로 돌아왔다. 낚시꾼들 수발 들며 돈을 벌었다. 남편은 나물 뜯으러 가고 아내는 밥을 했다. 조각배 저어가며 낚시꾼들 심부름을 했다. 비가 오면 물 퍼내며 노를 저었다. 살림집에는 손님 재우고 부부는 비닐하우스에 살았다. 눈을 뜨면 밤새 내뿜은 숨결이 이불이며 옷가지를 적셔 놓았다. 장작불에 옷가지를 말리며 밥을 짓고는 조각배로, 산으로 달려갔다. 산으로 간 남편은 비탈을 굴러 피투성이로 돌아오곤 했다. 뱀에게 물려 죽을 뻔도 했다. 그럴 때면 아내 김영순은 이리 말했다. "애들 안 가르치고 그냥 당신하고 나하고 그냥 우리 식구가 다 사는 게 행복하지 않을까." 다음 날이면 애들 가르치는 게 합당하다고 자동으로 마음이 변하곤 했다. 하여 뱀에게 물리고 비탈을 굴러 내려오는 삶이 반복됐다. 김영순이 말했다. "살아온 생각 하면 혼자 자면서도 웃는다. 내가 맹추라, 그게 사는 건 줄 알고 살았다."
평화의 댐과 비수구미
겨울 넉 달 호수가 얼면 건넛마을까지 걸어서 마실을 다녔다. 밤새워 화투 치며 놀았다. 날이 새면 함께 다음 집으로 가서 또 놀았다. 보름밤이면 계곡 위로 올라가 후라시 비추며 메기를 잡았다. 딱 먹을 만큼만 잡았다. 1987년 그 이름도 유명한 평화의 댐 공사가 시작됐다. 계곡 꼭대기 해산령에 터널 공사가 시작됐다. 계곡 아래 마을까지 작업도로가 생겼다. 대단히 많이, 삶이 바뀌었다. 장윤일이 말했다.
혼례 열흘 만에 남편 장윤일이 입대했다. 제대를 한 달 남기고 맏아들 복동이 태어났다. 돌아온 남편은 단양 탄광촌 잡부로 떠났다. 온통 새까만 세상에 질려, 아들을 둘러업고 따라간 아내는 40일 만에 남편을 끌어내 비수구미로 돌아왔다. 낚시꾼들 수발 들며 돈을 벌었다. 남편은 나물 뜯으러 가고 아내는 밥을 했다. 조각배 저어가며 낚시꾼들 심부름을 했다. 비가 오면 물 퍼내며 노를 저었다. 살림집에는 손님 재우고 부부는 비닐하우스에 살았다. 눈을 뜨면 밤새 내뿜은 숨결이 이불이며 옷가지를 적셔 놓았다. 장작불에 옷가지를 말리며 밥을 짓고는 조각배로, 산으로 달려갔다. 산으로 간 남편은 비탈을 굴러 피투성이로 돌아오곤 했다. 뱀에게 물려 죽을 뻔도 했다. 그럴 때면 아내 김영순은 이리 말했다. "애들 안 가르치고 그냥 당신하고 나하고 그냥 우리 식구가 다 사는 게 행복하지 않을까." 다음 날이면 애들 가르치는 게 합당하다고 자동으로 마음이 변하곤 했다. 하여 뱀에게 물리고 비탈을 굴러 내려오는 삶이 반복됐다. 김영순이 말했다. "살아온 생각 하면 혼자 자면서도 웃는다. 내가 맹추라, 그게 사는 건 줄 알고 살았다."
평화의 댐과 비수구미
겨울 넉 달 호수가 얼면 건넛마을까지 걸어서 마실을 다녔다. 밤새워 화투 치며 놀았다. 날이 새면 함께 다음 집으로 가서 또 놀았다. 보름밤이면 계곡 위로 올라가 후라시 비추며 메기를 잡았다. 딱 먹을 만큼만 잡았다. 1987년 그 이름도 유명한 평화의 댐 공사가 시작됐다. 계곡 꼭대기 해산령에 터널 공사가 시작됐다. 계곡 아래 마을까지 작업도로가 생겼다. 대단히 많이, 삶이 바뀌었다. 장윤일이 말했다.
![평화의 댐 아래‘비목공원’.](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608/24/2016082400056_4.jpg)
"트럭 기사들이 차 밧데리로 메기를 잡은 거라. 그 많은 트럭이. 한 시간에 비료 포대로 2개를 잡았느니, 3개를 잡았느니 소문이 나서 터널 공사 2년 내내 밧데리로 계곡을 지져놓은 거라. 나중에는 개울에 약을 풀어서 집 앞에까지 고기들이 떠올랐어." 충직하던 누렁이도 두 번 차로 쳐서 둘러업고 가버렸다. '귀한 생명들이니 먹을 만큼만 잡으라'고 네 남매에게 들려주던 교훈은 무색해졌다. '에티켓이라곤 전혀 없는 도시 사람들' 손에 고추밭은 짓밟히고 익지도 않은 배나무는 가지째 꺾여나갔다.
이리로 가기도 하고 저리로 흐르기도 하는 게 인생이다. 평생 못 볼 줄 알았던 길이 마을 어귀까지 뚫렸다. 무례한 도시 사람들이 비수구미에 돈을 뿌리고 갔다. 부부가 던져대는 날것 그대로 인생 이야기에 그 사람들이 울고, 또 찾아온다. 김영순이 말했다. "내 살아온 역사가 너무 힘들었는데, 남에게는 재밌나 봐."
이리로 가기도 하고 저리로 흐르기도 하는 게 인생이다. 평생 못 볼 줄 알았던 길이 마을 어귀까지 뚫렸다. 무례한 도시 사람들이 비수구미에 돈을 뿌리고 갔다. 부부가 던져대는 날것 그대로 인생 이야기에 그 사람들이 울고, 또 찾아온다. 김영순이 말했다. "내 살아온 역사가 너무 힘들었는데, 남에게는 재밌나 봐."
![평화의 종 위, 날개 잃은 비둘기.](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608/24/2016082400056_5.jpg)
그 돈으로 부부는 네 남매 어엿하게 키워 시집 장가 보냈다. 전기밥솥에 밥 안쳐놓고 밭에서 일하다가 집에 가서 먹고 싶다던, 문명화의 꿈도 실현됐다. 김영순 표 산나물밥 식객들이 팔도에서 몰려든다. 밥값 깜박하고 갔다가 입금해주는 손님들을 보면 "그래도 우리나라는 살 만한 세상"이라고 생각한다. 김영순이 말했다. "댐 공사 전에는 70리 뱃길뿐이었는데, 꿈같은 얘기였는데… 여기 길 날 줄 누가 알았냐고. 이럴 줄 알았으면 내가 면허증을 딸걸. 어디 가고 싶어도 누가 데리고 가야 갈 수 있으니 이거 원, 더러워서." 목소리에 물기가 비쳤다.
평화의 댐, 미륵바위와 꺼먹다리
화천읍에서 461번 도로를 거쳐 평화의 댐으로 북상해본다. 화천댐을 건설할 때 만든 다리가 나온다. 목재 상판과 난간을 콜타르로 칠해 꺼먹다리다. 발전소에서 그 옆에 콘크리트로 또 다른 다리 기초를 만들다가 해방이 되었다. 해방 후 소련이 그 위에 교각을 만들었다. 전쟁이 끝나고 대한민국이 상판을 올려 다리를 완성했다. 세 나라가 합작한 다리 이름은 구만교다.
평화의 댐, 미륵바위와 꺼먹다리
화천읍에서 461번 도로를 거쳐 평화의 댐으로 북상해본다. 화천댐을 건설할 때 만든 다리가 나온다. 목재 상판과 난간을 콜타르로 칠해 꺼먹다리다. 발전소에서 그 옆에 콘크리트로 또 다른 다리 기초를 만들다가 해방이 되었다. 해방 후 소련이 그 위에 교각을 만들었다. 전쟁이 끝나고 대한민국이 상판을 올려 다리를 완성했다. 세 나라가 합작한 다리 이름은 구만교다.
![미륵바위 앞에 있는‘숲으로다리’. 소설가 김훈이 작명했다.](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608/24/2016082400056_6.jpg)
더 북상하면 비수구미를 격변시킨 해산터널이 나온다. '아흔아홉구비'라는 표현이 절대로 과장이 아닌 험한 길(내비게이션을 보면 한숨이 나온다) 끝에 평화의 댐이 나온다. 옆에는 공원이 있다. 전 세계 분쟁 지역에서 수집하고 기부 받은 탄피 1만관(37.5톤)을 녹여 종을 만들어놓았다. 평화의 종이다. 9999관으로 종을 완성했다. 1관은 따로 비둘기 오른쪽 날개를 만들어놓았다. 통일이 되는 날, 종 위에 날개 없이 앉아 있는 비둘기 한 마리에 날개를 붙일 계획이다.
공원 아래쪽에는 비목공원이 있다. 가곡 '비목(碑木)'을 기념하는 공원이다. 1960년대 ROTC 장교 한명희(전 대한민국예술원 부회장)는 화천 비무장지대에서 녹슨 철모와 돌무덤을 발견했다. 1967년 그가 쓴 시에 작곡가 장일남이 곡을 붙인 가곡이 비목이다. 10년이 지난 1977년 2월 17일자 경향신문은 "이 노래가 실린 음반 판매량은 이미자의 음반 '동백아가씨'(15만 장)를 크게 앞질렀다"고 보도했다. 공원에는 비목을 상징하는 조형물과 철조망이 설치돼 있다. 마음이 먹먹하다.
낭만적 공간으로 바뀐 파로호
공원 아래쪽에는 비목공원이 있다. 가곡 '비목(碑木)'을 기념하는 공원이다. 1960년대 ROTC 장교 한명희(전 대한민국예술원 부회장)는 화천 비무장지대에서 녹슨 철모와 돌무덤을 발견했다. 1967년 그가 쓴 시에 작곡가 장일남이 곡을 붙인 가곡이 비목이다. 10년이 지난 1977년 2월 17일자 경향신문은 "이 노래가 실린 음반 판매량은 이미자의 음반 '동백아가씨'(15만 장)를 크게 앞질렀다"고 보도했다. 공원에는 비목을 상징하는 조형물과 철조망이 설치돼 있다. 마음이 먹먹하다.
낭만적 공간으로 바뀐 파로호
![파로호](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608/24/2016082400056_7.jpg)
2009년 4월 25일 김영순이 환갑을 맞았다. 시동생 장윤옥이 비수구미 계곡 7㎞를 걸어내려와 형수에게 감사패를 증정했다. '아궁이 앞에서 뜬눈으로 밤새우기 일쑤였던 나날들… 긴 세월 모진 세월 뒤로 하고…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모두 울었다. 거짓말쟁이 남편도 울었다. 김영순은 "가보(家寶)"라고 했다. 2013년 5월 10일, 결혼한 지 48년 한 달 3일 만에 김영순은 평생 소원이던 웨딩사진을 찍었다. "그런 쓸데없는 짓을 왜"라고 묻는 사람들에게 이리 답한다. "너는 왜 했냐. 나도 여자다."
461번 도로변은 단장됐다. 주민들은 미륵바위에 기대어 미래를 꿈꾼다. 소설가 김훈이 '숲으로다리'라 명명한 낭만적인 다리가 숲으로 사라진다. 비수구미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던 작업도로는 산책로가 되었다. 화천 사람들은 그 길을 선로(仙路)라고 부른다.
그 길에서 화전민 아들 장복동(49)에게 물었다. "당신은 비수구미에 살 것인가." "죽을 때까지." 또 물었다. 20년 뒤 비수구미에 와도 반기겠냐고. "죽을 때까지." 부부가 떠나고 없을지도 모를 그 작은 계곡에서, 나는 칠십 노인 장복동과 재회하는 꿈을 꾸었다. 모진 삶 다 끝나고 훨훨 나는 꿈을 꾸었다. 조닷
461번 도로변은 단장됐다. 주민들은 미륵바위에 기대어 미래를 꿈꾼다. 소설가 김훈이 '숲으로다리'라 명명한 낭만적인 다리가 숲으로 사라진다. 비수구미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던 작업도로는 산책로가 되었다. 화천 사람들은 그 길을 선로(仙路)라고 부른다.
그 길에서 화전민 아들 장복동(49)에게 물었다. "당신은 비수구미에 살 것인가." "죽을 때까지." 또 물었다. 20년 뒤 비수구미에 와도 반기겠냐고. "죽을 때까지." 부부가 떠나고 없을지도 모를 그 작은 계곡에서, 나는 칠십 노인 장복동과 재회하는 꿈을 꾸었다. 모진 삶 다 끝나고 훨훨 나는 꿈을 꾸었다. 조닷
'釜山 *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삼락생태공원'에 가을이 내리고...16' 10/2 yellowday (0) | 2016.10.10 |
---|---|
'걷기여행길' 10곳 선정 - 한국관광공사 (0) | 2016.08.30 |
신나는 갯벌 체험에 시간 가는 줄 몰라요, 고창 구시포 (0) | 2016.07.29 |
얼음처럼 쪼개진 바위… 지친 마음 식혀줄 계곡으로 간다 (0) | 2016.07.22 |
화폭에 담은 絶景, 300년 전 그 모습 그대로 (0) | 2016.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