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의 人物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yellowday 2016. 4. 6. 13:05


고산 사당 전남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조선 중기의 문신 ·시인. 치열한 당쟁으로 일생을 거의 벽지의 유배지에서 보냈으나, 경사에 해박하고 의약 ·복서 ·

음양 ·지리에도 통하였으며, 특히 시조에 뛰어나 정철의 가사와 더불어 조선시가에서 쌍벽을 이루고 있다.


본관 해남(). 자 약이(). 호 고산() ·해옹(). 시호 충헌(). 1612년(광해군 4) 진사가 되고, 1616년 성균관

유생으로 권신() 이이첨() 등의 횡포를 상소했다가 함경도 경원()과 경상도 기장()에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풀려나 의금부도사()가 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낙향, 여러 관직에 임명된 것을

모두 사퇴했다.

1628년 42세 때 별시문과() 초시()에 장원, 왕자사부()가 되어 봉림대군(:)을 보도()했다.

1629년 형조정랑() 등을 거쳐 1632년 한성부서윤()을 지내고 1633년 증광문과()에 급제, 문학()에

올랐으나 모함을 받고 파직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이끌고 강화도로 갔으나 청나라와 화의를 맺었다는

소식을 듣고 제주도로 항해하다 풍랑을 만나 보길도에서 은거하였다. 하지만 병자호란 당시 왕을 호종하지 않았다 하여

1638년 영덕()에 유배되었다가 1년 뒤에 풀려나 해남으로 돌아갔다.

1652년(효종 3) 왕명으로 복직하여 동부승지() 때 남인() 정개청()의 서원() 철폐를 놓고

서인 송시열() 등과 논쟁, 탄핵을 받고 삭직당했다. 1657년 중추부첨지사()에 복직되었다.

1659년 남인의 거두로서 효종의 장지문제와 자의대비()의 복상문제()를 가지고 송시열이 영수로 있는

서인의 세력을 꺾으려다가 실패하여 1660년 삼수()에 유배당하였다. 치열한 당쟁으로 일생을 거의 벽지의 유배지에서

보냈으나 경사()에 해박하고 의약 ·복서() ·음양 ·지리에도 통하였으며, 특히 시조(調)에 더욱 뛰어났다.

그의 작품은 한국어에 새로운 뜻을 창조하였으며 시조는 정철()의 가사()와 더불어 조선시가에서 쌍벽을 이루고 있다.

사후인 1675년(숙종 1) 남인의 집권으로 신원()되어 이조판서가 추증되었다. 저서에 《고산유고(稿)》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