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2.04.08 23:08
최치원(崔致遠·857~?)은 무엇보다 문장가다. 10년 넘게 당나라에서 벼슬살이하며 남부럽잖게 행세한 것도 문재(文才)가 밑천이 된 까닭이다. 황소(黃巢)의 난을 진압한 그의 격문(檄文)은 모르는 이가 없다. 칼로 목을 치기는 쉬워도 글로 마음을 꺾기는 어렵다. 그는 또 통일신라에서 드문 국제통이었다. 우리 역사에 흔치 않은 '세계적 지성인'인 셈이다. 그런 최치원은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
마침 그의 초상화가 몇 점 남아있다. 하지만 서원과 사당에 보관된 초상들은 이분이 그분일까 싶을 정도로 차이가 난다. 그린 시기도 모두 19세기 이후다. 앞서 내려오던 초상화를 보고 베꼈을 텐데, 모본(母本)이 사라져 생전의 최치원 얼굴인지는 알 길이 없다. 그중에서 이 그림은 화가와 제작 시기가 명기된 초상화다. 조선시대 전통 양식을 따른 극세필(極細筆) 초상화가로 이름을 날리며 고종의 어진(御眞) 등을 그린 채용신(蔡龍臣·1850~1941)이 1924년에 그렸다.
마침 그의 초상화가 몇 점 남아있다. 하지만 서원과 사당에 보관된 초상들은 이분이 그분일까 싶을 정도로 차이가 난다. 그린 시기도 모두 19세기 이후다. 앞서 내려오던 초상화를 보고 베꼈을 텐데, 모본(母本)이 사라져 생전의 최치원 얼굴인지는 알 길이 없다. 그중에서 이 그림은 화가와 제작 시기가 명기된 초상화다. 조선시대 전통 양식을 따른 극세필(極細筆) 초상화가로 이름을 날리며 고종의 어진(御眞) 등을 그린 채용신(蔡龍臣·1850~1941)이 1924년에 그렸다.
'최치원 초상' - 채용신 그림, 비단에 채색, 123×73㎝, 1924년, 정읍 무성서원 소장.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204/08/2012040801689_0.jpg)
말년의 최치원은 난세가 꼴 보기 싫어 떠도는 시비(是非)에 귀를 막고 종적을 감췄다. 시비가 들끓기는 요즘도 마찬가지다. 입은 가볍고 혀는 기름진 세상이다. 최치원이 또 떠나겠다.
'옛그림 옛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그림이 나를 쏘아본다… "이 자리서 결판내자" (0) | 2012.09.12 |
---|---|
[6] '소동파 코스튬' 갖춘 秋史, 비극을 뛰어넘었네 (0) | 2012.09.12 |
[4] 범상치 않은 조선 여인 초상화, 누구일까? (0) | 2012.09.12 |
[3] "임금이 바로 서야" 호통친 기개가 얼굴 위에 (0) | 2012.09.12 |
[2] '패셔니스타' 대원군, 칼집에서 칼 빼다 (0) | 201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