藝文史 展示室
8세기 통일신라 관청터, 경주 월성서 무더기 발견
yellowday
2016. 3. 31. 10:11
입력 : 2016.03.31 03:00
흙으로 만든 벼루 50여점 출토

신라의 '천년 궁성'인 경북 경주시 인왕동 경주 월성(月城·사적 제16호)에서 문서를 작성하는 관청터로 추정되는
8세기 중반 무렵의 건물터가 무더기로 확인됐다. 건물터에선 흙으로 만든 벼루 조각이 50점 이상 쏟아져 나왔다.
특히 건물터에선 흙으로 만든 벼루(토제 벼루)가 50점 이상 출토됐다. 동물 얼굴이나 다리 모양을 새긴 벼루 다리 32점이 포함돼 흥미롭다. 월성 주변에 있는 안압지, 분황사에서 나온 토제 벼루보다 훨씬 많은 양이 출토돼 이 일대가 문서를 작성하는 행정 관청 자리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또 C지구 안에서는 '정도(井桃)' '전인(典人)' '본(本)' '동궁(東宮)' 등의 글자가 새겨진 기와, 토기가 새롭게 출토됐다. '전인'은 궁궐 부속 관청인 와기전(기와나 그릇을 굽던 관아)에 소속된 실무자, '본'은 신라 정치체제인 6부 중 하나인 ' 본피부', '동궁'은 태자가 거처하는 궁궐을 뜻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박윤정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전인'이란 글자가 처음 확인돼 주목된다. 지금으로 치면 주무관쯤에 해당하는 말단 공무원"이라고 했다. 경주문화재연구소는 "월성은 4~9세기에 왕궁 또는 관련 시설이 있었고 신라가 멸망한 뒤에는 거의 사람이 살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